확실히 세상이 바뀌긴 했다. ‘근로’ 대신 ‘노동’이라는 표현을 쓰면 좌경이라고 몰아세우는 시대가 엊그제 같은데 이젠 노동이란 말이 보편화됐다. 사실 ‘근로자’란 표현은 적합하지 않다. ‘근로’는 ‘부지런히 일하는 것’(勤勞, work)이다. ‘노동’은 ‘일을 통해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하는 것(勞動, labor)이다.

근로는 노동자의 수동성을 강조하는 것이라는 해석이 공감을 얻고 있다. 즉 사용자의 지시 아래 근면성실하게 일하는 사람이 근로자다. 일제강점기에도 노동이 아니라 근로를 즐겨 사용했다. 근로자는 사용자의 지시에 기계적으로 따르는 존재인 반면 노동은 능동적으로 일을 하면서 자아를 실현한다는 의미가 있으니 노동과 근로는 큰 차이가 있는 것이다.

노동운동은 일제강점기나 군부독재 시절에 탄압을 받아 왔다. 당시 관공서에서는 노동운동을 좌경행위로 몰았다. 그러나 이제는 관공서에도 노동조합이 생길 정도로 노동운동을 보는 시각이 부드러워졌다.

수원시엔 기초지방정부 최초로 노동정책과도 생겼다. ‘노동이 존중받는 더 큰 수원 실현’을 목표로 지역의 고용과 노동 현안에 대한 현실적인 대책과 정책을 마련하기 위해 확대 설치한 것이다. 수원시는 지난해 2월 팔달구 인계동에 대리운전자, 학습지 교사, 배달 기사 등 이동노동자를 위해 '경기이동노동자 수원쉼터'를 만들었다. 수원시비정규직노동자복지센터도 다양한 조사와 복지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수원시노사민정협의회는 노동정책의 중심축이 됐다.

경기도 역시 노동조합 가입이 어려운 취약노동자들이 스스로 권익보호를 위한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지원하는 ‘취약노동자 조직화 지원사업’을 펼치고 있다. 취약노동자 조직화 지원사업은 지난해 경기중부 아파트노동자 협의회, 제조업 청년 노동자 준비모임 등 자조모임을 육성하고 아파트노동자 90명의 체불임금 4억6000만원을 해결하는 성과를 이루기도 했다.

노동자들이 스스로의 권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수원시와 경기도의 노력이 보기 좋다.

저작권자 © 수원일보 - 특례시 최고의 디지털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