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이 폐쇄된 지 5년이 넘었다. 개성공단은 2000년 6·15 공동선언 이후 2004년 개성 봉동리 일대에 들어섰다. 남북 화해와 협력을 위한 6·15 공동선언의 결실이었다. 자본·기술이 우위에 있는 남측과 토지·인력을 제공해 결합한 개성공단은 평화통일의 전초기지로서 남북민 모두의 기대를 받았다. 그러나 지난 2016년 2월 11일 전면 폐쇄됐다. 북한이 4차 핵실험에 이어 장거리 미사일을 시험 발사하자 박근혜 정부가 중단시킨 것이다.

이 조치의 가장 큰 피해자는 입주기업들이었다. ‘50년간의 자율적인 기업경영’ ‘공단의 안정적 운영’ ‘전적인 책임’을 보장하겠다는 정부의 약속만 믿고 허허벌판이던 개성공단에 공장을 세웠지만 정부는 책임을 지지 않았다. 개성공단 기업인들의 표현처럼 “잊혀진 존재”가 됐다. 이른바 ‘희망 고문’도 당했다. 2018년 남북정상회담과 북·미 정상회담, 9.19 평양선언, 김정은 위원장의 ‘조건 없는 개성공단 재개’ 언급은 가슴을 설레게 했지만 또 없었던 일이 됐다.

정부의 말을 믿고 북측지역에 공장을 세웠다가 큰 피해를 입고 백척간두(百尺竿頭) 위기에 처한 기업인들이 기댈 언덕은 국가밖에 없다. 그러나 정부는 미국 등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로 인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으니 딱한 노릇이다.

지난 2월 9일엔 DMZ생태관광지원센터에서 ‘개성공단 재개 선언 범국민 연대회의 출범식’이 열렸는데 이재명 지사는 영상축사를 통해 “개성공단은 한반도 경제협력의 상징이자 남북 노동자들이 신뢰를 쌓은 작은 통일의 공간”이라며 “연대회의가 개성공단 재개의 물꼬를 트고 남북관계 진전의 계기가 되길 바란다. 경기도 역시 변함없이 모든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지난 6일엔 경기도청 북부청사에서 경기도-경기신용보증재단-개성공업지구지원재단이 ‘경기도 개성공단 기업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개성공단 운영 중단 장기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경기도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의 지원 및 발전을 위한 각종 협력 사업들을 발굴·추진하겠다는 것이다.(본보 6일자) 앞으로 도는 참여 기관 간 업무 조율, 개성공단 입주기업 지원시책 발굴추진 등 행정적 지원을 하게 된다. 경기신용보증재단은 육성자금 융자, 신용보증 시 인센티브 제공 등 다양한 자금 지원방안을 마련한다. 개성공업지구지원재단은 개성공단 입주기업 전담 지원체계 구축, 판로개척 및 마케팅 등에도 적극 노력하기로 했다.

이재강 평화부지사의 말처럼 “개성공단은 한반도 경제공동체의 실험장이자 남북 노동자가 매일 만나 날마다 작은 통일을 이룬 곳”이다. 개성공단은 반드시 재개돼야 한다.

저작권자 © 수원일보 - 특례시 최고의 디지털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