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열 왼쪽부터 장인수 송영만 조재훈 문영근 조용호, 아랫 열 왼쪽부터 김회웅 이권재 이재철 김명철,
위 열 왼쪽부터 장인수 송영만 조재훈 문영근 조용호, 아랫 열 왼쪽부터 김회웅 이권재 이재철 김명철,

[수원일보=정준성 기자] 오산시는 경기도에서 가장 젊은 도시로 통하지만  인구가 22만9000여명으로 마이너급 도시로도 평가된다.

적은 인구, 좁은 면적이 지역의 콤플렉스다. 그러나  정치색은 진보에 가깝다.

5선 국회의원  3선 시장  모두 더불어민주당이 맡고 있기 때문이다.  

보궐선거로 치뤄진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과반에 가까운 44.3%를 기록했을 정도다. 

하지만 이번 6.1지방선거는 좀 다른 기류를 보이고 있다는게 지역 정가 분위기다. 

대선 결과에 따라 변수가 많아서다. 

그래서 ‘여당이 텃밭을 지키느냐’ 아니면 ‘야당이 텃밭을 갈아 엎느냐’에 대한 관심이 어느 곳보다 높다.

특히 현 곽상욱 시장이 3선 연임 제한으로 현직 프리미엄이 사라진 터라 그 빈자리를 누가 차지하느냐에도 관심이 뜨겁다. 

무주공산이라 그런지 인구에 비해 출마 예상자들이 많다.

현재 여.야포함 9명의 후보군이 자천타천으로 거론되는데 특이한 점은 대부분 현역 국회의원 보좌관 혹은 지방의원 출신들이라는 것이다.

그런 가운데 역대 선거에서 민주당계 정당이 꾸준히 50% 이상 득표한 도시답게 여당인사들이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우선 장인수 오산시의회 의장의 발걸음이 재다. 전국 최연소 의장이라는 타이틀을 주 무기로 ‘젊은 오산’을 내세우며 지지층을 규합중이다. 

오산중·고 동문들과 현재 몸담고 있는 각종 지역 협의회 위원들에게도 기대를 걸고 있다.

3선 경기도의원으로서  준비된 시장후보를 자처하는 송영만 의원도 동분서주 하고 있다.

탄탄한 정치 경험이 장점인 송 의원은 마찬가지로 오산중·고 21,22회 동창회장을 역임한 토박이임을 내세우며 지난해 ‘오산도시경제 시민연구소’를 출범한 뒤 바닥을 훑고 있다.

재선인 조재훈 경기도의원도 가세하고 있다. 사회복지 및 환경운동 전문가임을 내세우며 교통약자 등 소외 계층을 파고 들고 있다. 

‘삼보’라 불리는 안민석 국회의원 3명의 보좌관출신들도 분주하다.

문영근 오산르네상스포럼 대표는 일찌감치 시장 도전의사를 밝히고 지지세를 확대하고 있다. 

전 시의원으로서 자신의 지역구인 중앙동, 신장동, 세마동을 거점으로 외연도 넓히고 있다. 

아울러 장점으로 꼽히는 조직력을 바탕으로 지난 지방선거에서 곽상욱 시장과의 경선 탈락 고배를 만회하겠다고 벼르고 있다. 
 
역시 보좌관출신인 조용호 전 오산시시설관리공단 이사장과  김회웅 전 오산시 대외협력관도 자천타천 후보군에 오르내리고 있다.

조 전 이사장은 그동안의 정치경험을 바탕으로  조직 점검에 나서고 있고, 오산시와 화성시를 통합해 특례시를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을 해 주목받기도 했던 김 원장은 지역 인맥을 바탕으로 인지도 높이기에 매진 중이다. 

야당에서는 시장 재 도전을 노리고 있는 이권재 오산시 당협위원장과 이재철 전 고양부시장, 김명철 시의원이 유력 후보군으로 꼽힌다.

그 중 가장 활발한 활동에 나서고 있는 출마예상자는 이권재 위원장이다. 

현재 대통령 선거에 올인하고 이후 입장을 표명하겠다며 신중한 행보를 보이고 있지만 물밑으로는 오산발전포럼 회원을 확충하는 등 대대적으로 조직을 확대하고 있다.

그러면서 국도 교통문제와 운암뜰 개발 등 지역 현안에 대한 대안도 적극 제시하고 있다. 

지난 12일 '당신 덕분입니다' 출판기념회를 열고 본격적인 출마 행보에 나선 이재철 전 고양부시장은 오산희망연구소를 통해 시민들과 소통하며 지지기반을 다져나가고 있다. 

경기도청 균형발전국장 및 실장, 과천시, 성남시, 고양시 제1부시장 등을 두루 거친 행정전문가임을 자처하며 고향 발전에 기여하게 해달라고 호소중이다.

오산의 보수와 야당 대표 주자를 자처하는 김명철 시의원은 지난해 이미 오산미래공감포럼 상임대표를 맡으며 출마를 공식화했다.

오산 토박이 이며 3선 시의원으로서의 관록과 청렴. 지역 현안에 밝은 이점을 내세우며 보폭을 넓혀가고 있다. 

오산은 아직 ‘적합한 후보가 없다’거나 ‘잘 모르겠다’고 답한 부동층 비율이 30%가 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만큼 아직  민심의 향방을 가늠하지 못하고 있는 곳이다.

때문에 여야 출마 예상자 모두 젊은 표심을 어떻게 공략하느냐가 관건이라는 인식하에 고군 분투 중이다.

저작권자 © 수원일보 - 특례시 최고의 디지털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