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의 허점은 조사방법에 따라 결과가 다르다는 것이다.

때문에 전문가들사이 논쟁도 곧잘 벌어진다.

특히 고용통계가 그렇다.

통계청은 매달 우리나라 고용 시장의 현황을 알 수 있는 ‘고용동향’을 발표한다.

하지만 지표를 두고 정부와 경제학자들 간의 갑론을박이 끊이지 않고 있다.

지표를 해석하는 정부와 전문가들의 견해 차이가 커서다.

사정이 이러다 보니 서로 주장하는 숫자도 크게 다르다.

지난 1월 고용통계를 보자.

통계청은 ‘2022년 1월 고용동향’을 통해 올해 1월 취업자 수는 2695만3000명이라 발표했다.

더불어 증가수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4%인 113만5000명 이라 밝혔다.

이는 11개월 연속 증가한 것이라고도 했다.

2000년 3월 121만1000명 이후 21년 10개월 만에 가장 많이 늘어났다는 부연설명도 덧붙였다.

그러자 전문가들은 즉각 통계를 의심하고 나섰다.

근거는 경제성장률 1%증가에 일자리 10만개 순증과 연관성이 있다는 경제학계 통설이 바탕이다.

작년 경제 성장률은 전년 대비 4%였던 것을 감안하면 40만개 정도라는 것이다.

따라서 통계청의 전년 대비 113만개 증가는 신뢰성이 없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통계청의 고용 통계에는 한 주에 1시간만 일해도 취업자 1명으로 치는 조사방법도 문제라고 했다.

사실 통계청 고용지표는 발표때마다 논란을 불러왔다.

어디 그뿐인가.

세금으로 단기 임시직 일자리를 만들어 통계 착시를 불러왔다는 비난도 받았다.

그래서 지난 5년동안 ‘놀랄만한 일자리 창출’이라고 선전할 때마다 반론도 만만치 않게 제기되며 국민의 불신을 키워왔다.

모두가 통계를 내는 지표선정의 모순이 불러오는 결과들이다.

이런 상황은 그동안 일자리 창출 내역을 들어다봐도 실감이 간다.

창출된 일자리중 일하는 시간이 짧은 임시직도 상당수여서다.

특히 그중에는 알바 수준의 일자리, 1년도 못 가는 단기 일자리도 부지기수다.

거기에 주당 1시간만 일해도 취업자로 잡는 통계청과 달리 주당 40시간인 전일제로 환산해 일자리를 계산하면 취업자수는 더욱 줄어 든다.

그런데도 고용지표가 지난 5년동안 계속 좋아지고 있다고 발표하는게 정부다.

이쯤되면 통계 착시를 이용한 숫자놀음이 프로급이라 하니 할 수 없다.

해서 일부에선 이를 두고 ‘통계분식’이라 하는지는 모르지만.

한달 남짓 있으면 새 정부가 출범한다.

그때 가서는 국민들을 헷갈리게 하는 고용수치 논쟁에 마침표를 찍을 수 있을까.

저작권자 © 수원일보 - 특례시 최고의 디지털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