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주민의 상수원인 팔당수질을 위해 경기도가 지난 10년간 3조5000억원의 막대한 한강수계기금을 퍼붓고도 최근 4년간 오히려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의 수질관리가 주먹구구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경기도의회 권오진 의원(민주·용인5)은 팔당수질개선본부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경기도가 2000년부터 팔당 수질 개선을 위해 10년간 환경기초시설과 토지 매수 등의 사업에 3조4823억원을 투자했지만 팔당호의 화학적 산소요구량은 더욱 나빠졌다”고 지적했다.

서민들은 팔당호 수질이 좋아지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웬 날벼락 같은 이야기인지 의아해서 말문이 막힐 지경이다. 팔당호의 화학적 산소요구량은 2000년 3.2ppm 었으나 2006년 3.3ppm, 2007년 3.6ppm, 2008년 3.8ppm, 2009년 4.0ppm을 기록하는 등 해마다 악화됐다. 팔당호 수질의 연도별 화학적 산소요구량은 10년 전 수치부터 1급수(1ppm)에는 크게 못 미쳤지만, 지난해 수치가 1급수의 4배 이하로 악화되고 있다는데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상황이 이런데도 경기도가 깨끗한 물 자랑을 늘어놓고 있다. 최근의 수질상태로 보아 COD·BOD는 물론 대장균 오염 등도 심해 기준치를 넘고 있는 것이 뻔하다. 선진국에서는 아예 상수원으로 쓰지 못할 저수지 등의 '등급 외' 원수로 만든 수돗물을 시민에게 권유한 셈이다.

이러고도 경기도는 수질개선을 위한 장기계획을 세우고 있지만 2000년 이후 팔당호 수질개선에 쏟아 부은 돈이 3조원을 넘는데도 수질이 오히려 악화되고 있는데 그런 장기 개선 목표가 달성되기를 기대해도 되는지 속만 상할 뿐이다.

수질은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나빠진 데는 원인이 있다. 전문가들은 수도권의 과도한 개발이 문제라고 말한다. 우후죽순 들어서는 아파트에다 팔당호 주변의 음식점, 호텔, 휴양지 등이 주범이라는 것이다. 물론 경기도와 서울시 등 자치단체가 연관된 문제겠지만, 결과가 이렇게 된 이상 환경부의 무능을 탓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런 것을 조율하고 장관이 국무회의에 참석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권 의원은 "경기도가 실적 채우기에 급급한 나머지 팔당호 주변 오염시설 용지를 매입하기보다 임야와 논밭을 사들인 것은 수질개선을 뒷전에 둔 처사"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2000년부터 지난해 9월 말까지 한강수계기금 5200억원이 한강 유역 867만여㎡의 토지매수에 사용했고 매수 토지 중 57.8%인 501만여㎡가 임야, 20.0%인 173만여㎡가 밭과 논, 대지로 밝혀졌다.

하지만, 수질오염에 가장 영향을 많이 주는 공장은 1%에 불과한 8만6000여㎡, 축사는 1.6%인 14만1000여㎡, 숙박· 음식점은 5.3%인 46만여㎡에 그쳤다. "경기도가 사들인 임야마저 하천과 500m 이상 떨어진 곳이 전체의 40%가 넘는다"는 주장은 예산 소요에 급급해 실적 채우기 매수로 결국 예산만 낭비한 꼴이다.

당일 상수원으로 세계 최대 규모인 한강 수질을 악화시킨 데는 수도권 난개발 등도 주요 원인이 됐다. 팔당상수원의 수질악화는 수도권 주민의 건강과 직결된다는 점에서 보다 강도 높은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

저작권자 © 수원일보 - 특례시 최고의 디지털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