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경기만' 일대를 개발하기 위해 6조원을 투입기로 한 것은 새해 도정의 최대 정책사업으로 꼽힌다. 이 계획은 국토해양부가 지난 연말 '환황해 경제권을 주도하는 지식·첨단산업 융복합벨트로 조성한다'는 서해안권 발전 종합발전에 따른 것이다. 이번 국토부의 서해안권 발전 종합계획은 그동안 김문수 경기도지사가 민선 4기부터 추진해 온 '골드 코스트 프로젝트'로 경기도판 세부계획에 지나지 않는다는 게 도 관계자의 설명이다.

지방행정권 중심으로 추진돼야 할 특성화 사업이 한계에 부딪혀 결국 뒤늦게나마 정부의 종합계획에 따라 빛을 보게 된 것이다. 국토해양부가 지난달 29일 동·서해안권 발전 종합계획 최종 확정 발표는 지난해 4월 내놓은 남해안권 계획과 함께 한반도를 둘러싼 해안권 개발 청사진이다.

서해안권은 수퍼경기만권, 충남 서해안권, 새만금권 등 3개 권역으로 개발해 나간다는 것이다. 수퍼경기만권은 환황해 경제권을 주도하는 관광·첨단산업의 복합벨트로 육성한다는 목표로 국제비즈니스 거점 및 환황해 협력체계 조성, 초일류 첨단산업벨트 구축, 글로벌 해양생태·문화 관광벨트 조성과 연계한 인프라 구축 등 4개 추진전략 아래 총 36개의 단위사업으로 구성해 추진한다.

김문수 도지사는 민선 4기 때부터 "경기도 서해안은 중국은 물론 세계로 가는 창구로 경기만을 대한민국 미래를 책임질 수 있는 국가 전략기지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강조해 왔다. 지식·첨단산업 거점, 국제비지니스, 해양레저 및 그린에너지 메카로 효율적인 산업집적지(클러스터)화를 달성함으로써 조기에 지역 특성화를 실현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적지 않다.

하지만, 80년대 이후 국토개발 청사진이 나온 게 한두 번이 아니다. 정치적 입김에 좌우되다 보니 지역별로 주요 사업이 중복되고 나눠먹기식 분산투자가 효율성을 낮추게 했다는 지적이 제기된 것도 사실이다. 이번만 해도 그렇다. 21세기 유망산업인 녹색 에너지와 관광벨트 개발이 동해안과 서해안에 중복으로 배치돼 있다. 풍력, 바이오, 태양광, 조류발전 등을 동·서해안에 모두 깔아야 지경이다. 여기에 지역 민원까지 가세, 정치적 목소리가 강해지면 이 같은 개발전략이 차츰 꼬이고 덧붙여져 잡탕이 될 수밖에 없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동서남해안권마다 녹색에너지, 휴양허브, 해양레저, 휴양레포츠 등 지역이 다른 것 외에 어떤 특징이 있는지 불투명하다. 중복되는 사업들을 국가적 측면에 특성화 할 수 없다. 물론 개발 계획을 세우다 보면 지역의 민원 등도 감안해야 하고 그러다 보면 다른 지역과 일부 사업이 중복될 수도 있다. 그러나 지역의 요구를 너무 고려하다 보면 국토의 효율적 발전이라는 본래의 목표가 무색해질 뿐 아니라 중복 과잉사업으로 예산도 낭비될 수 있기에 그렇다.

아무튼, 이번 경기도의 서해안권 발전종합계획은 오래전부터 추진돼온 경기도의 최대 정책으로 정부와 공감대를 형성하게 됐다는데 의미가 있다.

이를 위해 역내외 인프라 구축도 중요하다. 황해경제구역 진입도로 등 SOC를 조기 건설하고 평택항 배후 물류단지 조성, 환황해권 연계 네트워크, 삼성전자를 중심으로 관련 지자체 산업단지 조성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나가야 할 것이다. 이젠 청사진에 그칠 것이 아니라 계획대로 일궈나가야 한다. 경기만권 개발을 기대한다.

저작권자 © 수원일보 - 특례시 최고의 디지털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