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계에 악취가 여전히 사라지질 않고 있다. 지난해 경기도 내 공·사립 교직원들의 각종 비리를 저지른 현황을 보면 말문이 막힌다. 경기경찰청이 지난해 토착과 권력, 교육 등 3대 비리에 대한 집중 단속을 한 결과 교육비리 혐의로 공·사립 교직원 82명이 적발돼 1명이 구속되고 81명이 불구속 입건됐다.

승진, 시설공사, 횡령, 금품수수, 수학여행 비리, 방과후 학교 비리, 졸업앨범 납품비리, 급식업체 신청에 이르기까지 비리가 개입되지 않은 곳이 없을 정도다. 어느 분야보다 청렴해야 할 교육계이기에 실망감이 더욱 크다. '비리 백화점'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교육계 비리는 안전지대가 없다. 교육계의 썩은 물이 전국적으로 물들어 있다는 것은 나라의 미래를 점칠 수 없는 심각성을 보이고 있다. 관련 기관이 밝힌 전국 16개 시·도교육청과 산하 지역교육청 청렴도 조사를 보면 서로 경쟁을 벌이듯 비리를 저질렀다. 금품향응 제공과 같은 뇌물 관행이 예나 지금이나 별로 달라진 게 없으니 개탄스러울 뿐이다.

그러나 교육 당국의 대응은 여전히 미덥지 않다. 교육행정 공무원들은 제 밥그릇 보전을 위해 임기응변식 대책 마련에 급급하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은 기회 있을 때마다 교육비리 척결을 통한 교육개혁 의지를 역설했지만, 교육 당국은 교육개혁은커녕 비리 발본색원 의지조차 보이지 않고 있다.

안산경찰서는 학교 운동장 인조잔디 공사 등과 관련해 1300만원 상당의 금품을 수수하고 공사비 등을 횡령한 안산 A중학교 교직원 유모(51)씨 등 6명을 검거했다. 수원남부경찰서는 기능사 자격시험과 관련한 학교시설 사용료를 개인계좌로 입금받아 1400만원을 횡령한 안양 B고교 교사 이모(44)씨 등 7명을 검거했다.

비리 혐의가 한 생명을 앗아가는 안타까운 일도 있었다. 방과후 활동 교사와 강사들로부터 전기요금 명목으로 금품을 수수한 의혹을 받던 경기도 한 초등학교 교장은 목숨을 끊었다.

교육비리는 한 번 터지면 관련자들이 굴비 두름처럼 줄줄이 연루돼 있다. 비리 연루자가 한두 명에 그치지 않는다. 교육계 비리가 이렇게 심각한지는 상상을 초월한다. 교육비리를 모두 드러내 보이는 것은 환골탈태를 위한 진통이다. 그러나 비리 구조 탈피를 위한 대책 마련이 병행되지 않으면 일시적 충격 요법에 그칠 뿐이다.

무엇보다 지연·학연·혈연으로 얽혀 서로 밀고 당겨주는 교육계의 고질적 풍토를 쇄신해야 한다. 그러려면 교육감의 인사권 행사를 객관적으로 견제·감시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인사비리는 교장·교감으로 승진하는 가장 빠르고 확실한 코스인 장학사가 되려는 일부 교사들의 출세욕과 이를 악용한 고위급 전문직들의 돈 욕심이 빚어낸 병폐에서 비롯된다.

서울교육청의 경우 인사를 미끼로 한 뇌물 먹이사슬의 구조는 지난해 12월 한 여성 장학사가 다른 장학사와 술자리에서 다툰 뒤 경찰 조사에서 "장학사 시험 합격시켜 달라고 2000만원을 건넸다"고 폭로하면서 드러났다. 이후 교사들로부터 4000만원을 받아 챙긴 혐의가 드러났다.

교육계는 기회 있을 때마다 '자정'을 강조하고 '부패추방 결의대회'를 열어 비리가 발붙이지 못하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말뿐이었다. 맡은 일을 성실히 수행하는 교육자들을 위해서도 교육계를 먹칠하는 일부 행태를 엄히 다스려야 한다. 솜방망이 처벌은 부패를 더욱 키울 뿐이다. 강도 높은 자정이 절실하다.

저작권자 © 수원일보 - 특례시 최고의 디지털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