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용인·화성·오산 등 경기남부지역 광역 경제생활권 구축을 위한 협의체 구성은 지자체들이 현안에 공동대응하는 발전적 힘을 모은다는 점에서 필요하다. 그러나 수원시가 제안한 '경기남부 경제공동협의회' 구성이 잇따라 타 지자체들의 반대로 발목이 잡히고 있다고 한다.

수원시는 민선 5기 출범 후 삼성전자 등 대기업 이탈 방지와 신성장산업 유치 등 지역경제 문제를 공동으로 대응할 광역 경제권 구축을 위해 화성과 오산, 용인시에 경기남부 경제협의회 구성을 제안했다. 경기남부권 내 대기업 이탈을 막고 신수종 산업 유치를 공동으로 펼쳐 기업과 지역이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찾자는 취지에서 주변 지자체에 협의회 구성을 제안한 것이다.

그러나 용인과 오산시는 별도의 협의회 구성 대신 기존 수원, 용인, 평택, 화성, 안성, 의왕, 오산 등 7개 기초자치단체장으로 구성된 경기남부권 시장협의회에서 경제 관련 안건을 논의하자는 입장이다. 화성시도 현재 선거법 위반혐의로 공판이 진행 중인 채인석 시장의 대법원 판결 뒤에 논의하자며 보류했다.

그렇다면 수원시가 제안한 경제협의체 구성의 무산은 사전 협의도 없이 나 홀로 추진하려 했다는 점에서 신중하지 못했다. 적어도 협의체 구성은 관련 지자체와 의견을 나눈 후 공식 제안하는 순서를 밟았어야 옳다. 용인시와 오산시가 기존의 남부권 7개 기초단체로 구성된 시장협의회를 두고 별도의 협의체를 구성하자는 것은 중복성으로 인한 지자체 간 불협화음을 우려한 것이다.

물론 수원시가 별도의 경제생활권 협의체를 구성하려는 것은 관련 4개 시에 기업들이 가장 많이 집중화돼 있다는 특수성을 고려해 협력관계를 가질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들 지자체는 지역 경제에 대기업이 차지하는 비중과 시세 의존도가 높은 곳이다. 직원 300명 이상인 기업체 현황을 보면 화성시(오산시 포함)가 26개 업체(고용인원 3만8000여명)로 가장 많았고, 용인과 수원시가 각각 13개 업체(1만7000여명)와 5개 업체(3만5000여명)로 분포돼 있다.

수원시는 자체적으로 이미 대기업이 지역 경제에 미치는 파급 효과를 주목해 지난해 12월 삼성전자와 삼성전기, 삼성LED와 함께 기업상생협력단을 구성했다. 행정기관이 기업하기 좋은 여건을 조성하고 이를 통해 기업의 투자가 확대돼 고용 창출과 지역경제활성화를 꾀하려는 것이다. 수원시는 아마도 이 기구의 기능을 경기남부권으로 확대하기 위해 제안한 취지는 충분히 설득력을 준다. 하지만, 동의를 이끌어내지 못한 것은 아무래도 방법상 문제가 아니었나 하는 아쉬움을 남긴다.

공동 현안을 안고 있는 지자체 간 협의체는 필요하다. 수도권에서 기업유치가 규제에 묶여 경제활성화가 어렵다면 관련 지자체가 공동대응에 나서야 한다. 지역발전과 주민소득·일자리 창출에 지자체들이 힘을 모으는 것은 당연하다. 그래서 기업이 많은 지자체들이 뜻을 같이해 현안을 해결해 나가는 것은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차제에 수원시는 경제공동협의체를 구성하려는 취지를 관련 지자체에 알려 그 필요성에 공감하도록 노력하기 바란다. 여기엔 지역 상공회의소 등 민간단체들의 참여가 더 큰 힘을 발휘할 수 있다는 점도 유념하기 바란다.

저작권자 © 수원일보 - 특례시 최고의 디지털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