뜨거운 여름이 어느덧 선선한 바람에 밀려 저만치 멀어진 듯 하다. 가을의 초입에 우리는 어느덧 다시 경술국치일과 마주하게되었다.

'과거에 대해 눈을 감는 사람은 현재에 대해서도 장님이 된다'는 말이 있다. 1910년 8월 29일, 경술국치. 한일병합을 경술년에 당한 나라의 수치라는 뜻으로 1910년 8월 22일에 대한제국과 일본제국사이에 맺어진 합병조약은 대한제국의 내각총리대신 이완용과 제3대 한국통감인 데라우치 마사다케가 형식적인 회의를 거쳐 조약을 통과시켰으며, 조약의 공포는 8월 29일에 이루어져 일제강점기가 시작되었다.

일제의 조작가능성이 농후한 무효의 증거가 명백함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식민지배는 한국에 유용했다', '한일합방은 동양평화를 위한 것이고 군국일본이 아시아를 구원했다'는 둥의 망언은 끝이 없었다.

몇 해 전 일본 총리는 한일 강제병합 100년을 맞아 "식민지 지배가 가져온 다대한 손해와 고통에 대해 다시 한번 통절한 반성과 마음으로부터의 사죄를 표명한다. 3.1 독립운동 등의 격렬한 저항에서도 나타났듯이, 정치 군사적 배경 하에 당시 한국인들은 그 뜻에 반하여 이뤄진 식민지 지배에 의해 국가와 문화를 빼앗기고, 민족의 자긍심에 깊은 상처를 입었다. 역사의 사실을 직시하는 용기와 이를 인정하는 겸허함을 갖고 스스로의 과오를 되돌아보는 것에 솔직하게 임하고자한다. 아픔을 준 쪽은 잊기 쉽고 받은 쪽은 이를 쉽게 잊지 못하는 법이다, 식민지 지배가 초래한 다대한 손해와 아픔에 대해 재차 통절한 반성과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사죄의 심정을 표명한다"고 하며, "일본이 통치하던 기간에 조선총독부를 경유하여 반출돼 일본 정부가 보관하고 있는 조선 왕실의궤 등 한반도에서 유래한 도서에 대해 한국민의 기대에 부응하여 가까운 시일에 이를 반환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한일병합조약이 무효라는 말도 없고, 일본군위안부도 없고, 조선여자근로정신대도 없고, 강제징용자도 없었다. 일본총리 담화 가운데 가장 진일보했던 무라야마 총리의 담화와 별반 다를 것 없는 내용이었다. 우리가 진정 원하는 것은 사죄와 반성을 뛰어넘는 행동이다. 이전의 사죄와 반성 수준도 넘지 못했는데 역사교육의 문제나 독도문제가 해결될 수 있겠는가? 최근의 독도에 대한 일본의 반응을 보라. 이것이 진정 사죄와 반성을 하는 이들의 자세인가.

안타깝게도 치욕의 역사는 100년을 넘기고 말았다. 오늘날의 경술국치 103년은 103년 전에 끝난 치욕이 아니다. 103년 동안 겪어온 치욕인 것이다. 경술국치의 날을 국민의 절반이상이 모르는 지금의 무관심으로 친일파의 후손들이 겁도 없이 날뛰고 소송을 하는 지금의 민족혼으로 100년이 더 있다한들 이 치욕을 바로잡을 수 있을까.

100여 년 전 나라의 국권을 일제에 의해 빼앗긴 경술국치를 무엇을 기념하냐고 되묻는 사람들이 있다. 오늘의 시점에서 경술국치의 화두는 빼앗긴 하늘과 빼앗긴 땅에서 어떻게 살았어야 하는가 하는 문제가 아니라 그 하늘과 땅을 또다시 빼앗기지 않기 위해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하는 문제인 것이다. 8월 5일 공포되어 시행되는 ‘경기도 국기게양일 지정 등에 관한 조례’에 의하여 경기도에서는 이번 29일 전국 최초로 조기가 게양된다. 현충일외에 경술국치일에 조기 게양을 시행하는 것은 경기도가 처음이다. 경기도 의회 관계자는 ‘경술국치일은 국가적 사건을 기리는 날이고 태극기는 대한민국 전체의 상징물이기 때문에, 경기도의 조례를 넘어 국가적 차원에서 시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 국민이 경술국치일에 조기를 게양하고 나라 빼앗긴 날을 잊지 않고 나라사랑의 마음을 고취할 수 있었으면 하는 기대를 해본다.

저작권자 © 수원일보 - 특례시 최고의 디지털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