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 10명 중 6명이 도내에 입지한 서울시 소유 생활기피시설로 인해 생활에 불편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피시설에 대한 반감도 경기도민이 서울시민들에 비해 높았다.

경기개발연구원 기획조정실 정책분석팀 안병도 선임연구위원은 16일 '경기도 소재 서울시 소유 기피시설에 대한 주민 인식조사'  결과를 통해 "도민들은 생활기피시설로 인해 경제적 손실보다는 생활불편을 느끼는 사람의 비중이 3배나 많다"고 밝혔다.

여론조사는 지난해 12월23일부터 29일까지 경기도 및 서울시 거주 19세 이상 성인남녀 각 800명 씩 총 1600명을 대상으로 리얼미터에 의뢰, 전화설문 방식으로 진행됐다.

조사결과 도내에 설치된 서울시 기피시설에 대한 도민 피해유형은 생활불편이 57.0%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경제적 손실(19.2%), 안전과 건강우려(12.3%), 거주지 미관저해(7.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도민들의 서울시 기피시설 수용 반대가 생활권 확보에서 비롯된 것임을 반증하는 것이다.

'인근지역에 생활 기피시설이 설치되는 것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라는 수용도 비교 질문에서는 도민들의 '절대반대' 응답이 서울시에 비해 높았다.

서울시민의 16%가 '절대반대' 입장을 밝힌 데 반해 도민의 19.7%가 '절대반대' 입장을 확고히 했다.

이와 함께 서울시민의 절반 이상(55.3%)이 기피시설이 입지한 경기도민에게 반드시 보상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보상방법에 대해서는 도민과 서울시민 모두 기피시설 운영 수익의 주민배당을 가장 좋은 방법으로 꼽았다.

보상 적정금액에 대해서는 서울시민의 35%가 경제적 보상금액으로 1인당 연 200만 원 미만을, 200만~300만 원 이상 의견도 20%가 넘어 서울시민 42.9%가 연 200만 원 이상을 적정금액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반면 보상금 지원비용 주체에 대해서는 서울시민 53%가 '공동 출연'을, 경기도민 55%가 '서울시 지원'을 답해 큰 차이를 보였다.

이 외에 도내 기피시설을 서울시로 이전하는 것에 대해 서울시민의 39.5%가 '반대'를, 32.2%가 '찬성' 응답하는 예상 외 결과가 나왔다.

이에 반해 도민의 46.7%가 적정 보상 시 기피시설 '수용'을, 43.3%는 보상하더라도 '반대' 의견을 제시했다.

이는 서울시 생활기피시설의 도내 입지에 대해 서울시민들은 '미안한 감정'을 보이고 있으며, 경기도민들은 '피해의식'을 느끼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한편 조사를 진행한 안병도 연구위원은 "서울시민들이 기피시설의 서울 이전에 찬반 의견이 거의 동수를 보인 것을 감안, 장기적으로 친환경 처리방식을 갖춘 후 해당 지역으로 이전할 수 있는 민심여건은 다져져 있다고 보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안 연구위원은 "앞으로 도와 서울시가 기피시설 문제를 정책적으로 논의할 때, 시민의식을 존중해 합리적이고 지속적인 정책방향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수원일보 - 특례시 최고의 디지털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