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이 낮은 계층일수록 건강이 취약해 사회적 차원의 보호방안이 필요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경기개발연구원은 ‘제4기 1차년도(2007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분석한 ‘저소득 취약계층 건강보호방안 연구’에서 저소득층은 영양상태와 작업환경 등이 열악해 건강하지 못한 상태에 이르게 되며 이로 인한 노동력 상실이나 과다한 의료비 지출로 다시 빈곤에 빠지고 있어 지방정부 차원의 건강안전망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기연은 재산을 제외한 소득만을 기준으로 최저생계비 150% 이하인 계층을 저소득층으로 정의하고 물질적, 인구사회적, 건강행태적 요인별로 이들의 건강상태를 분석했다.

이때 건강상태는 주관적 건강상태와 건강관련 삶의 질 지표를 통해 측정했다.

먼저 물질적 요인과 건강실태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건강상태 수준도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매우 나쁘다’고 답한 응답자 중 최저생계비 이하 계층은 68.4%에 달했다.

이들의 민간의료보험 가입률은 중산층에 비해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개인의 경제적 능력(소득수준)에 따라 병을 얻었을 경우 보장받을 수 있는 안전망에 차이가 있는 건강 불평등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농림어업이나 단순노무에 종사하는 비율이 높았는데, 주관적 건강상태에 대해 ‘나쁘다’와 ‘매우 나쁘다’는 응답이 농림어업 숙련종사자 35.7%, 단순노무종사자 23.0%로 전문직 종사자(9.1%)에 비해 2∼4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이는 향후 건강관련 정책을 추진할 때 육체노동을 주로 하는 사람들에 대한 건강실태와 수요를 우선적으로 파악해야 한다는 것을 말해 주는 것이다.

인구사회적 요인에 따른 건강실태를 살펴보면 여성이 남성보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지 않았으며, 50대 이후에는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질 수준이 급격히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연은 “40대 후반 이후에는 부모 죽음, 자녀결혼, 퇴직 등의 경험이 정신적, 신체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연령에 맞춘 건강관련 정책을 추진함으로써 고령화에 따른 의료비 증가를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교육수준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 수준을 측정한 결과,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건강상태도 향상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 기준으로 건강상태가 ‘좋음’ 또는 ‘매우 좋음’으로 응답한 비율은 대학원졸(50.7%)이 가장 높았고, 4년제 대학졸(37.3%)이 뒤를 이었다.

경기연은 “이것은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이 높은 계층은 새로운 치료기술과 2차 예방서비스 등 정보접근이 상대적으로 쉽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차별적인 정보접근이 발생하지 않도록 의료서비스에 대한 정보공개와 구체적인 홍보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수원일보 - 특례시 최고의 디지털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