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인의 삶에서 통계관련 정보를 벗어난 일상생활은 감히 상상하기조차 힘들다고 할 것이다. 가깝게는 매일 아침마다 접하는 기상 정보를 비롯하여, 주식투자, 주택, 토지 관련 정보를 비롯한 재테크 등 경제분야 및 사회활동 전반에서 거의 절대적이라고 하겠다.

이러한 통계의 역사는 국가가 징세·징병, 다른 어떤 목적을 위해 호적이나 토지대장을 만들어 이것을 근거로 통계를 작성한 것을 시작으로, 근대적 통계는 19세기 중엽 유럽 선진국들에서 제도화되어 정비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통계의 대상도 인구·범죄에서 폭을 넓혀 산업·무역도 포함하게 되었고, 19세기 후반에는 특히 사회문제가 중요시되어 가계조사 등의 통계까지 등장하였으며 20세기에 들어와 더욱 확충·강화 발전되어 오늘날 통계의 모습을 갖췄다고 본다.

이러한 통계조사 방식도 이전에는 방문조사로 알려져 있는 대면조사에서 오늘날에는 정보통신 과학의 발달에 힘입어 전화, 인터넷을 이용한 PC, 모바일, 팩스 등 다양한 방법으로 진화하였으며, 또한 조사결과를 토대로 유용하고 다양한 정보를 생산하는 기법도 최근에는 '빅 데이터 프로세싱(Big data Prosssing)'이라고 하는 디지털 시대에 폭증하는 '방대한 량의 데이터(Big data)'를 관리하고 분석해서 유용한 정보로 만들어 사용하는 혁신적인 기술로까지 발전하였다. 

우리나라는 통계청에서 5년마다 실시하는 가장 규모가 큰 이른바, 3대 총조사로 인구주택총조사, 농림어업총조사와 경제총조사가 있다.

이러한 대규모 통계조사가 실시되면 통계 담당부서와 담당직원들은 시민들로부터 받은 많은 민원에 대해 고심하게 된다. "요즘 같은 시대에 주민등록시스템을 비롯한 그 많은 행정정보시스템을 활용하면 되지 왜 힘들게 돈낭비, 시간낭비를 하면서 힘들게 하느냐?" 부터 "왜 민감한 개인정보까지 시시콜콜 캐묻느냐?" 는 등의 항의(?)를 종종 받게 되기 때문이다.

행정정보 자료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비용을 들이고 국민에게 불편을 주면서까지 조사를 하는 이유는, 행정자료로는 수집되지 않거나 대체할 수 없는 항목에 대해서 좀 더 현실성 있고 실효적인 정책수립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서이며, 부득이하게 응답자에게 직접 확인이 필요한 항목에 대해서는 현장조사를 진행한다. 

답변한 개인정보 및 응답된 자료는 개인식별이 불가능하게 암호화 및 수치화하여 철저히 안전하게 보관되며, 아울러 조사원들도 비밀엄수 의무에 서명 후 채용되고 만약 이를 위반할 경우 통계법을 적용하여 처벌이 가능하여 개인정보의 유출에 대한 염려는 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지난 2020년에 인구주택총조사와 농림어업총조사가 진행되었었고, 올해는 우리나라 전체 산업전반의 생산·고용·경영실태 등 구조와 분포에 관한 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전국의 사업체를 비롯한 우리 팔달구 1만2,747개의 사업체를 대상으로 '2020년 기준 경제총조사'가 오는 6월 14일부터 7월 30일까지 인터넷 및 방문을 통하여 실시된다.

이번 조사를 통해 우리 구를 비롯한 수원시의 기본적인 경제지표 및 사회구조가 정확하게 조사되어 경제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시민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통한 협조가 필요하며, 특히 코로나 시대를 반영한 우리나라 사회 전반의 산업체 현황과 경제흐름을 진단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 수원일보 - 특례시 최고의 디지털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