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이 변해 최근 음력의 절기를 기억하고 의미를 되새기는 사람들이 많이 줄어들었다.

 하지만 찾아오는 시간만큼은 신기할 정도로 정확하게  계절의 특징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는 사람의 몸과 마음에 영향을 준다.
 
 창 너머 부는 바람이 8월답지 않고 제법 선선하게 느껴지는 것도 이 때문일 것이다.

폭염과 열대야에 시달리던 때가 바로 엊그제 같은데 어느덧 가을로 접어들고 있다.

기후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자주  얼굴을 내미는 파란 하늘도 제법 높아졌고 거기에 그려진 구름모양도 선명해 세월의 변화를 느끼게 한다.

 오늘(23일)은 ‘모기도 입이 비뚤어진다’는 처서(處暑)다.

아침저녁으로 선선한 기운을 느끼게 되고 이러한 서늘함을 빗대 모기의 극성도 사라짐을 나타내는 말이다.

우리 선조들은 예로부터 처서는 ‘땅에서는 귀뚜라미 등에 업혀오고, 하늘에서는 뭉게구름 타고 온다’고도 했다.

무덥던 여름이 가고 수확의 계절, 가을이 오는 반가움을 자연의 변화를 이렇게 표현한 것이다. 살갑다.

더불어 관련된 속담도 많다.

‘처서에 비가 오면 쌀독의 곡식도 준다’는 것도 그 중 하나다.

농경사회시절  처서 때 비가 내리면 흉년이 든다는 뜻이다.

이는 여름 내내 정성들여 가꾼 오곡이 마지막 결실의 때를 맞아 비가 내리면 곡식이 제대로 여물지 않아 1년 농사의 마무리가 제대로 되지 않는다는 말이다.

이 외에도 ‘어정칠월 건들팔월’이란 말도 있다.

칠월과 팔월이 어정어정 또는 건들건들하는 사이에 지나가 버린다는 뜻으로, 추수 할 일만 남긴 한가해진 농촌을 빗댄 말이다.

당연히 해야 할 일은 하지 않고 매우 엉뚱하며 덤벙대기만 함을 비유한 ‘어정뜨기는 칠팔월 개구리’ 역시 여기서 비롯된 속담이다.

지금은 거의 사라진  정겨운 우리네 말들이 아닐 수 없다.

벌초도 이 시기를 택해 많이 한다.

‘처서가 지나면 풀도 울며 돌아간다’는 속담처럼 따가운 햇볕은 누그러지고 찬바람이 불어 풀들이 성장을 멈추기 때문에 잡초제거가 용이해져서다.

그러나 세상은 계절의 변화를 살갑고 정겹게 느낄 수 있는 여유를 우리에게 선물 하지 못하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 시대  어김없이 다가오는 가을을 앞두고 부는 ‘바람’처럼 우리 마음도 한결 가벼워졌으면 하는 ‘바람’ 간절하다.

저작권자 © 수원일보 - 특례시 최고의 디지털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