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랑의 시 ‘오월’을 읽으면 신록의 묘한 힘을 느낀다.

“들길은 마을에 들자 붉어지고/마을 골목은 들로 내려서자 푸르러졌다./바람은 넘실 천(千)이랑 만(萬)이랑/이랑 이랑 햇빛이 갈라지고/보리도 허리통이 부끄럽게 드러났다./꾀꼬리는 여태 혼자 날아볼 줄 모르나니/암컷이라 쫓길 뿐/수놈이라 쫓을 뿐/황금빛 난 길이 어지럴 뿐/얇은 단장하고 아양 가득 차 있는/산봉우리야, 오늘밤 너 어디로 가버리련?”

그런가 하면 ‘국민수필가’ 피천득 선생은 ‘오월’이라는 수필에서 메마른 산야를 신록이 뒤덮는다는 계절을 이렇게 예찬했다.

“오월은/금방 찬물로 세수를 한/스물한살 청신한 얼굴이다/하얀 손가락에 끼어 있는 비취가락지다/오월은/앵두와 어린 딸기의 달이요,/오월은 모란의 달이다/그러나 오월은/무엇보다도 신록의 달이다/전나무의 바늘잎도 연한 살결같이 보드랍다/신록을 바라다보면/내가 살아있다는 사실이 참으로 즐겁다/내 나이를 세어 무엇하리!/나는 오월 속에 있다.”

굳이 이 같은 표현을 빌리지 않아도 5월하면 많은 사람들의 마음이 초록빛 서정으로 물든다.

시인과 수필가들이 앞 다퉈 5월에 대한 상념을 노래한 것은 인간에게 위안과 기쁨을 주며, 세속적인 일상에서 벗어나 자연과 온전히 하나가 되도록 하는 담록(淡綠)의 계절이어서는 아닐까.

지금은 거의 사라진 제비를 빗대 시인 황금찬은 ‘5월의 노래’에서 이렇게 읊었다.

“언제부터 창 앞에 새가 와서/노래하고 있는 것을/나는 모르고 있었다/심산 숲 내를 풍기며/5월의 바람이 불어오는 것을/나는 모르고 있었다/저 산의 꽃이 바람에 지고 있는 것을/나는 모르고/꽃잎 진 빈 가지에 사랑이 지는 것도/나는 모르고 있었다/오늘 날고 있는 제비가/작년의 그놈일까?”

하지만 5월이 담록의 봄날처럼 마냥 새뜻한 것만은 아니다.

때로는 떨어져 누운 꽃잎이 생각나는 것처럼 알싸함이 밀려오기도 한다.

매년 찾아오는 많은 것들을 온몸으로 느끼기엔 현실이 너무 팍팍해서다.

그러나 이보다 더한 부류도 있다.

정치의 계절인 만큼 희비가 갈리는 이들에게는 담록의 계절, 초록의 계절이 아니라 고행의 계절이다.

거기에다 계절은 이러한데 정치는 더욱 스산함이 더해 서늘함마저 넘친다.

아니 서리 내린 늦가을처럼 냉랭 하다못해 살얼음 찬 계절이다.

이런 와중에 내일 새로운 대통령이 취임한다. 

살아있는 모든 것들이 싱싱함으로 가득차  축복인 계절에 국민들 마음은 갈라져 있으니 안타깝다.

저작권자 © 수원일보 - 특례시 최고의 디지털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