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가 아플 때 '할머니의 처방약'이란 애칭이 붙은 매실은 원산지가 중국이다.

약 3000년 전부터 약재로 사용해 왔다.

신맛이 강해 생각만해도 입에 침이 고인다 하여 망매지갈(望梅止渴)이라는 고사도 나왔다.

삼국지에 등장한다.

중국 위나라때 조조 이야기다.

장수(張繡)를 정벌하기 위해  행군 도중  물이 떨어져 부하들이 갈증에 시달렸다.

이를 본 조조가 묘안을 떠울렸다. 그리고 곧바로 건너편 산을 가리키며 “조금만 더 가면 매실 숲이 있다”며 병사를 독려했다.

동시에 "매실은 아주 시고도 달아 우리 목을 축이기에 충분할 것이다"라고 행군을 재촉했다.

그 말에 모두들 입안에 침이 고여 갈증을 해소하고 원기를 되찾았다는 내용이다.

이후 망매지갈은 이룰 수 없는 것을 환상으로 대신한다는 뜻으로 자주 사용되고 있다.

또한 거짓 사실로써 실제의 욕망을 충족시킨다는 의미로도 쓰이고 있다.

정확한 기록은 없지만 우리나라도 1000년전부터 매실을 먹었다고 하니 재배의 역사가 꽤 오래다.

매실은 매화나무의 열매다.

예부터 사군자의 하나로 인내와 정조의 상징인 매화나무는 우리 선조들이 특별히 사랑한 나무로 잘 알려져 있다.

이른 봄 꽃을 피워 우리에게 즐거움을 선사하고 꽃이 지면 매실을 맺어 우리의 건강을 챙겨준다고 해서다.

특히 신사임당의 매화 사랑은 지금도 회자 된다.

아들 율곡에게 어릴 때부터 매화가지가 새겨져 있는 ‘용연벼루’를 사용토록 했다.

 ‘움트는 새순이 결국 매화꽃이 되고 열매 맺듯이 열심히 공부하라’는 뜻이었다고 한다.

뿐만 아니다. 첫째 딸의 이름을 매창(梅窓)이라 지을 정도였다.

지금도 강릉 오죽헌에 가면 당시 신사임당이 어린 율곡과 함께 직접 가꾸었다는 600년 된 매화나무가 있다.

일본에선 매실로 만든 장아찌 우메보시(umeboshi·梅干)를 1000년 전통의 건강식품이라 부른다.

또 3년이 넘으면 ‘약’이라고도 한다. 장아찌지만 염분이 거의 없어 신장병이나 고혈압 환자들도 즐겨 먹는다.

최근에는 항암 효과까지 입증되면서 인기를 더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선 매실을 수확시기와 가공법에 따라 청매, 황매와 청매를 쪄서 말린 오매(烏梅)로 나눠 부른다.

특히 청매는 껍질이 파랗고 과육이 단단하며 신맛이 강해 매실청 원료로 가장 많이 쓰인다.

다만 청매 씨에는 청산(靑酸)성분인 아미그달린(Amygdalin)이 있어 흠이 있지만 제거하고 먹으면 된다.

아무튼 얼마 후면  매실이 제철인 6월이 온다.

그 첫날 전국동시 지방선거가 있다.

지선을 앞두고 선거에 출사표를 던진 후보들의 13일간 본격 선거운동이 오늘(19일) 부터 시작됐다.

저마다 지역발전 전략과 공약을 제시하며 표심에 호소할 것으로 보인다.

당선을 위해, 표를 위해, 혹여 '망매지갈'을 유도하는 후보는 없는지 유권자의 냉철한 판단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저작권자 © 수원일보 - 특례시 최고의 디지털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