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생활과 비(雨).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다. 굳이 설명치 않아도 그렇다. 그래서 예부터 내리는 비의 양에 따라 부르는 이름도 각양각색이다.

줄잡아 60가지가 넘는다. 그리고 살가운 우리말이 대부분이다. 빗방울이 가장 작은 것은 안개비다. 그보다 약간 굵은 비는 는개라 한다. 이슬비는 는개보다 굵지만 가랑비보다는 가늘다. 맑은 날 느닷없이 왔다 가는 여우비도 있다.

오랜 가뭄 끝에 내리는 비는 고마움을 담아 단비라 불렀다. 귀에 익은 구슬비 외에도 밤비가 있고 가루비, 날비, 싸락비도 있다.

모두 잔비에 속하고, 큰 비라 불리는 달구비, 발비, 억수 등도 있다. 또, 봄 여름 가을 겨울 계절별로 비의 이름이 다르다. 농사일이 시작되는 봄철 할 일 많다고 일비, 농사일 뒤끝에 내리는 여름비는 잠이나 자라고 내리는 잠비다.

추수철에 내리는 가을비는 떡이라도 해 먹으라고 내리는 떡비요, 애주가들이 지어낸 술비는 겨울 농한기에 내리는 비다. 모종 철이나 모내기 철에 내리는 비라면 그건 분명 단비로, 꿀비이자 약비이다. 모두가 자연 현상의 정취를 자아내 정겹다.

하지만 같은 비라도 장맛비는 아니다. 워낙 질기게 내리는 탓에 몸은 처지고 기분은 개운치 않아 환영 받지 못한다.

인명과 재산 피해까지 내서 더욱 그러하다.

시인들에게도 장마만큼은 반갑지 않은 손님이었던 모양이다. 조병화시인은 “지금 나는 비에 갇혀 있습니다/갈 곳도 없거니와/갈 수도 없습니다/지금 세상 만물이 비에 묶여있습니다”라고 했을 정도다.

특히  이번 같은 '물폭탄'은 피해자들을 울리기에 충분하다.
 
이런 시기면 으레 생체 리듬에 변화가 생기곤 한다. 인체가 기압과 습도 및 일조량에 민감하기 때문이다.

비오는 날, 몇일을 두고 내리는 장맛비는  특히  우울증을 호소하는 사람이 많은 것도 이 같은 현상과 무관치 않다.

전문가들은 뇌의 ‘솔방울 샘’에서 분비되는 호르몬 ‘멜라토닌’ 때문이라고 한다. 인체의 바이오리듬을 조절하는 멜라토닌은 눈에 들어오는 빛의 양에 따라 분비량이 달라지는데, 주위가 밝으면 적게 분비되고 어두우면 많이 분비된다.

그래서 일조 시간이 짧거나 흐린 날이 길어지면 체내에 멜라토닌 양이 늘어나 심하면 우울증에 빠지게 되는 것이다. 물폭탄으로 진행되고 있는 올 장마는 앞으로도 심술이 유별날 것이라는 예보다. 어느때 보다 생활의 지혜로움이 요구되는 시기다.

저작권자 © 수원일보 - 특례시 최고의 디지털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