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가 운영하는 장애인 복지택시가 겨우 6대에 불과하다. 이렇다 보니 예약이 어려워 장애인들로부터 원성이 빗발치고 있다고 한다.

인구 100만이 넘는 경기도의 수부도시가 펼치고 있는 전시성 복지행정의 한 단면이다. 교통 약자를 위한 이동편의시설 확대와 사회참여는 선진화의 지름길이다.

장애인을 위한 이동편의시설에는 저상버스 승강설비, 여개선 터미널 안내시설, 버스정류장 점자블록, 점자안내판, 여객선터미널 승강구, 교통 약자 전용엘리베이터 등이다. 특히 중증장애인이나 노약자에게 중요한 교통수단이 되고 있는 복지택시 운영은 복지사업 중 무엇보다 확대 선행되어야 할 일이다.

그러함에도 수원시는 중증장애인에게 지원하는 특별교통수단으로 2001년도에 구입한 복지택시 6대가 고작이다. 차령도 10년 가까워 노후돼 교체가 시급한 데다 2008년부터 매년 9대씩 늘리겠다던 약속도 헛구호에 그치고 있다.

수원시에 거주하는 중증장애인(1, 2급)은 8000여명에 이르지만 6대 밖에 없는 복지택시를 이용하기에는 하늘의 별따기 보다 어렵다는 장애인들의 하소연이 나올 수밖에 없다. 그나마 복지택시 운영도 엉망이다. 차량이 가뜩이나 부족한 데다 이용시간도 오후 5시에 종료돼 아예 이용을 포기하는 장애인이 상당수에 이르고 있다.

“복지택시가 증차되지 않아 수요를 따르지 못하는 상태”라며 “콜 센터 연결이 어려워 이용을 포기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는 김진규 수원중증장애인독립생활센터 소장의 하소연이고 보면 수원시의 장애인 복지정책이 얼마나 허구성을 드러내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실상이다.

장애인, 노약자 등 교통약자에 대한 이동편의 증진은 시대적인 추세임을 감안할 때 수원시가 복지택시 마저 증차 약속을 깨고 있을 뿐 아니라 노후차 교체도 방치하고, 이용시간도 앞당기는 등  파행 운영을 하고 있다는 사실은 놀라운 일이다. “이동권은 취업이나 교육 등 어떤 장애인 복지정책보다 선행되어야 할 과제”라는 김 소장의 말은 설득력을 주기에 충분하다.

경제적 어려움을 딛고 직장을 다니는 중증장애인들에게는 복지택시 이용이 절실하다. 그러나 출퇴 전에 운행시간이 종료되고 있으니 ‘그림의 떡’인 셈이다. 과연 누구를 위한 복지택시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한  연구기관 조사는 우리나라에서의 보행자 교통사고의 4분의 3이 교통약자인 장애인과 어린이, 노약자로 밝혀졌다. 그래서 이들에게 보행권 확보를 위한 교통정책이 시급한 이유다. 수원시가 올해 교통약자 지원센터를 개소하고 중증장애인용 복지택시 12대, 이외 교통약자용 일반택시 30대를 확보키로 했다고 한다.

이번만은 약속을 꼭 지키길 바란다. 차제에 시내 곳곳에 인도없는 간선도로 정비와 횡단보도 설치 등 보행권을 중심정책으로 장애인 보호에 배려를 아끼지 않아야 할 것이다. 장애인에게 ‘이동권 확보’는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생존권 문제이기에 그렇다.

저작권자 © 수원일보 - 특례시 최고의 디지털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