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에서 발생하는 가연성폐기물과 목질계폐기물, 가축분뇨, 하수슬러지 등 폐자원을 에너지로 활용할 경우 엄청난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경기개발연구원이 발표한 '경기도 폐자원 에너지 활용방안' 연구결과 도내 폐기물과 사업장 배출시설폐기물, 건설폐기물 등 가연성폐기물의 에너지화 가능량을 산출한 결과 하루 5190t으로 집계됐으며 이를 활용할 경우 270만t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정부가 발표한 '녹색성장 국가전략 및 5개년 계획'은 폐자원과 바이오매스 등 국내 부존자원을 적극 활용하는 것으로 돼 있다.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하고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방안이다. 버려지는 폐기물을 에너지로 활용하는 계획은 온실가스 감축 효과와 함께 녹색성장의 지름길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도내 폐기물 고형연료로 자원화할 경우 연간 28만7000여TOE(1TOE는 연비 1㎞/ℓ 승용차가 서울~부산을 17번 왕복할 수 있는 휘발유량)에 이르고 원유 대체로 연간 87만3000여t의 이산화탄소를 감축할 수 있는 양이다. 폐자원 에너지의 온실가스 감축이 우리의 지상목표라는 점에서 반드시 추진돼야 할 과제다.

먼저 경기도는 녹색성장 신기술 개발뿐만 아니라 이를 담당할 연구인력과 전문 기술인력 양성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다. 폐기물 에너지 활용은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국가정책에 즉각 대응할 수 있는 태세를 갖출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우선 인력 양성을 전담할 수 있는 기관을 선정해야 한다. 이번 폐자원 활용에 대한 연구처럼 도내 연구기관, 지역혁신 주체들과 충분한 협의가 전제돼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신재생에너지 분야별 인력양성, 연구 활성화, 기업지원 육성을 꾀해야 함을 물론이다. 경기도는 이번 연구결과를 토대로 신성장에너지 정책을 시대적 흐름에 발 빠르게 대응해 나가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폐자원 활용으로 온실가스 감축 효과는 원론적인 수준에서만 논의됐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제는 타성에서 과감하게 벗어나 권역별, 지역특성별로 나눠 지역의 폐자원에너지화에 면밀하게 조사 연구해 대처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현재 도내에는 산림폐목재와 도시폐목재 85만1000여㎡를 펠릿으로 활용하면 연간 860여억원의 원유를 아낄 수 있어 61만5000여t의 이산화탄소 감축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밖에도 가축분뇨로는 112만2000여t, 하수슬러지로는 4만9000여t, 음폐수로는 4만8000여t 등 모두 270만t의 온실가스 감축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연간 270만t의 온실가스 감축은 탄소배출권으로는 874억원에 달한다"며 "유형별, 지역별 폐자원 에너지 활용방안을 수립, 화석연료 의존도를 낮추고 관련 산업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도 창출해야 한다"는 경기개발연구원 관계자의 말은 설득력이 있다.

이제 폐자원에너지화로 가기 위해서는 각종 규제로 작용할 부분들은 과감히 풀어 민·관·산·학이 함께 전력 집중해야 한다. 수요가 따라주지 않는 투자는 지속될 수 없다. 에너지 절약, 녹색제품 선호 등 수요구조의 탈바꿈을 위한 노력이 더 강조돼야 하는 이유다. 관련 산업에 인센티브 방식의 접근이 최대한 활용돼야 한다. 그래서 올해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설정, 실행에 들어갈 것을 당부한다.

저작권자 © 수원일보 - 특례시 최고의 디지털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