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우리 경제가 올해 5% 내외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경기회복 흐름이 장기간 지속될 수 있게 관리하겠다는 내용의 경제정책운용방향을 내놨다. 한국은행, KDI, IMF 등 국내의 주요기관들이 내다본 올 경제성장률이 4%대 소·반 수준이고 민간경제연구소 중에는 3%대를 전망하는 곳도 있고 보면 정부가 낙관적인 기대를 깔고 올 경제운용정책을 짠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수원상공회의소가 지역 70개 제조업체 대상으로 올해 1/4분기 기업경기전망을 조사한 결과 큰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답한 업체가 전체 44.3%에 달했다. 이 중에는 불황을 예상한 업체도 18.6%로 조사돼 올해 역시 경영상 많은 난관에 봉착할 것이 예상되고 있다는 우울한 보도다. 반면 전체의 37.1%의 기업은 경기가 좋아질 것이라고 답해 낙관적 기대도 하는 것은 다행한 일이다. 하지만 섣부른 낙관은 금물이다.

전체 16%의 기업은 경영침체 이유로 '원자재 가격'을 꼽았으며 불확실한 경제상황과 자금에 대한 우려도 각각 15.1%, 12.6%로 집계됐다. 무엇보다 대내외적인 불확실성이 널려 있는 점이 경제전망을 낙관할 수만은 없는 이유다. 대외적으로 침체된 선진국 경기, 성장속도가 빠른 신흥국의 자산 버블과 경기변동이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 중국 의존도가 높은 우리로서는 특히 중국 경제 동향이 큰 변수다.

원자재 가격과 관련해선 응답자 52.9%가 상승을 예상했으며 보합세와 하락은 각각 54.3%, 1.4%에 불과했다. 기업은행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올 1분기 중소제조업 경기전망에서도 1분기 경기실사지수(RSD)는 104로 전 분기(2010년 4분기)의 114에 비해 10포인트나 빠졌다. 그만큼 올 중소기업이 처할 경제여건이 지난해보다 더 악화할 것이라는 얘기다. 겨울철 비수기 여파도 있지만, 원자재가격 상승으로 중소기업 경영부담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는 방증이다.

기업들은 또 자금사정과 관련, 악화(25.8%)되거나, 불변(67.1%)할 것으로 예측했으며 호전될 것으로 보는 업체들은 7.1%에 그쳤다. 중소기업 체감경기가 얼어붙은 데는 지난해 연말 북한 연평도 포격에 따른 지정학적 리스크가 부각한 것이 크게 작용했다. 여기에 국내 저축은행 부실, 유럽발 금융위기 재현, 위안화 절상과 차이나 쇼크, 가계부채 위기 확산 등 올 우리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요소들이 산 넘어 산이기 때문이다.

"최근 경제의 더딘 회복과 환율불안, 금리인상 우려 등이 국내 경기에 부정적 영향을 미쳐 체감경기 상승세가 다소 둔화된 것"이라는 수원상의의 판단은 이와 맥을 같이한다.

문제는 경기회복과 함께 국제원자재 가격 강세, 임금 및 서비스 요금 상승 등으로 물가압력이 높아질 가능성을 정부도 인정하는 만큼 만전의 대책을 강구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우리 경제 전반에 불어닥친 충격파를 해소할 수 있도록 일시적인 경기 조정과 자금 대출로 기업의 단기 자금난을 해결하는 것도 중요하다. 보다 중요한 것은 물가안정 속에 경기회복 흐름이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일이다. 또 청년·고령층의 경제활동 참가 촉진, 기업환경 개선을 통한 투자촉진 등에서 가시적 성과가 나올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수원일보 - 특례시 최고의 디지털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