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 중립’이란 말이 전세계적으로 회자되고 있지만 지금도 이 뜻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국민들이 많은 것 같다. 산업화 이후 인간 활동에 의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폭증했고 이는 지구온난화 등 전 지구적 환경 파괴 현상을 일으키고 있다. 이를 대처하기 위해서는 온실가스의 주범인 화석연료 사용을 최소화하고 줄이고, 배출된 탄소의 양만큼 나무를 심어 숲을 복원하고 청정에너지 분야에 투자해야 한다. 이렇게 해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흡수량과 균형을 이룰 때 탄소중립(탄소제로)이 달성된다.

UN 산하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는 2018년 ‘지구온난화 1.5℃ 특별보고서’를 통해 지구의 온도 상승을 인류의 생존 한계선인 평균 1.5℃ 이하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 상태가 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 사회 모든 부분에서 과감한 온실가스 감축이 필요함을 역설한 바 있다. 현재까지 100개가 넘는 국가가 탄소중립을 선언했다. 하지만 중국, 미국 등 세계 1, 2위 탄소배출국을 비롯, 대부분의 국가들은 탄소중립을 법으로 명시하지 않았다.

우리나라도 지난해 10월 탄소중립을 선언했으나 아직 계획 단계다. 따라서 우리나라 기업들은 기후 위기를 느끼면서도 탄소중립을 준비하지 못한 곳이 많다.

최근 경기연구원이 발간한 ‘경기도 에너지전환을 위한 녹색금융 활성화 방안 연구’에 의하면 설문에 응한 도내기업 절반 정도가 ‘탄소중립에 대해 전혀 준비돼 있지 않다’고 답했다고 한다. 경기연구원이 조사기관 ㈜엠앤엠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4월 19일부터 5월 18일까지 일정 규모 이상의 도내 중소기업 151곳(스타기업 63곳, 글로벌강소기업 62곳, 유망환경기업 23곳, 스타기업 및 글로벌강소기업 3곳)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결과는 우리나라 탄소중립 정책의 현주소를 말해준다.

응답기업의 56.9%가 탄소중립 대응 필요성에 공감했으나 52.3%는 ‘탄소중립에 대해 전혀 준비돼 있지 않다’고 답했다는 것이다. 준비가 되지 않은 이유는 ‘공정개선·설비 도입 관련 비용 부담’(43.7%), ‘전문인력 부족’(20.5%), ‘유망산업으로 인한 사업 전환 등을 위한 정보 부족’(9.3%) 등이었다.

이에 경기연구원은 “기후변화는 단순한 환경문제가 아니라 경제·금융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를 계기로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경영과 기후 리스크 관리가 금융기관과 기업의 핵심 전략”이라면서 도내 기업 대상 녹색금융 활성화를 위해 ‘경기녹색금융공사’를 설립하자고 제안했다.

경기연구원의 말처럼 ‘환경’이 기업의 주요한 평가 가치로 주목받는 상황에서 긍정적으로 고려해봐야 할 문제다.  

저작권자 © 수원일보 - 특례시 최고의 디지털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