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도 많고 탈도 많던 대선장정(大選長征)이 끝났다.

당선자는 결정됐지만, 선거를 통해 얻은 게 무엇인가?

환경단체가 선거에 사용한 각종 쓰레기라며 재미있는 수치를 내놨다.

당장 어제(9일)까지 사용한 투표용지를 보자.

선관위에 따르면 투표용지는 대선 유권자 4400만 여명에 맞춰 제작됐다.

투표용지 100장 기준 두께가 1cm임을 감안, 이를 모두 쌓으면 4400m에 달한다.

이를 한 줄로 이으면 더 엄청나다. 길이가 1만1880km로 서울과 뉴욕간 거리다.

길거리에 내걸린 현수막, 후보 알림용 벽보도 만만치 않다.

녹색연합에 따르면 2017년 19대 대선에서 후보자 종이 공보물은 약 4억부 제작됐다.

전국 거리에 개시된 현수막은 5만2545장이었다.

올해 대선에선 현수막이 5년 전의 두 배 이상 허용됐다고 한다.

대략 계산해도 10만여장이다.

선거 직후 철거하는 현수막은 플라스틱 합성섬유 '폴리에스테르'가 주성분이다.

때문에 과거 선거가 끝날 때마다 논란이 됐었다.

매립해도 거의 썩지 않고 다이옥신 등 유해물질 배출 때문에 소각도 쉽지 않아서였다.

재활용도 추진했지만 지난 21대 총선 기준으로 보면 25%에 그쳤을 뿐이다.

환경단체는 이를 바탕으로 이번 대선 홍보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량도 계산해 내놨다.

약 7312t에 달할 것으로 추정하면서 30년 된 소나무 80만3522그루가 1년 내내 흡수해야 하는 양이라 밝히기도 했다.

거기에 이번 대선에선 신종 코로나19 확산 우려로 1회용 비닐장갑도 사용했다.

1회용 비닐장갑은 1장당 길이가 약 28cm다.

대선 유권자 4400만여명 전원이 장갑을 쓴다고 가정하면 8800만장 정도가 쓰레기로 사라졌다.

환경단체는 이를 쭉 펼치면 2만4600km를 훌쩍 넘긴다며 서울~부산(390km)을 31번 왕복할 수 있는 거리라고 했다.

4~5일 사전투표와 9일 본투표 하루를 합쳐 사흘 만에 한번 쓰고 버리는 쓰레기 양으로 이 역시 환경오염 주범에서 자유롭지 못한 물질이다.

오는 6월 지방선거에선 훨씬 많은 홍보물이 쓰인다는 것을 유추해 환경단체는 다음과 같은 계산도 내놨다.

대부분 1회성으로 쓰인 뒤 버려지는 올해 대선 및 지방선거공보물과 현수막 등을 합치면 2만8084t의 온실가스를 내뿜는다고.

이는 플라스틱 1회용 컵 5억4000만개를 사용한 것과 맞먹는 수준이라며 선거로 남겨지는 환경 쓰레기의 심각성을 지적했다.

세금 4210억원이 투입되면서 사회적 환경적 부담으로 남는 선거쓰레기, 이번 대선의 또 다른 민낯이다.

하지만 ‘남은 것’으로 치면 이보다 더 큰 문제가 있다.

선거쓰레기 만큼 국민 마음에 앙금으로 남아있는 반목과 갈등 후유증이 그것이다.

벌써부터 또 다른 충돌과 혼란이 벌어질까 두렵다.

저작권자 © 수원일보 - 특례시 최고의 디지털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