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의 소득 양극화가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소득양극화는 2001년 이전에는 근로소득 격차가 가장 큰 원인이었으나 2001년 이후에는 부동산 소득 격차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다.

28일 한국은행 경기본부가 내놓은 '경기지역의 소득양극화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가구의 평균 소득의 50%이하 소득계층을 빈곤층, 51∼150% 소득계층을 중산층, 150%초과 소득계층을 고소득층으로 분류할 때 지난 2003년 도내 고소득층 가구비율은 26.5%로 1998년 21.8%보다 4.7%포인트 높아졌다.

그러나 이들의 소득점유율은 같은 기간 46.3%에서 55.8%로 무려 9.5%포인트 높아져 가구비율 증가폭을 크게 웃돌았다.

반면 빈곤층의 가구수 비율은 1998년 21.8%에서 2003년 22.2%로 소폭 높아진 가운데 이들이 차지하는 소득점유율은 오히려 같은 기간 4.8%에서 4.3%로 낮아졌다.

또 중산층 역시 가구수 비율이 56.4%에서 51.3%로 하락한 것은 물론 소득점유율도 48.9%에서 39.9%로 크게 떨어졌다.

이같은 통계는 갈수록 도내 전체 소득 가운데 고소득층 소득은 점점 높아지고 중산층과 빈곤층 소득은 점차 낮아지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한국은행은 소득양극화가 2001년 이전에는 전체 소득의 85%를 차지하는 근로소득의 격차에 의해 발생했으나 이후에는 부동산 소득 격차가 주요 원인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실제 2000년 도내 전체 가구별 소득에서 부동산소득이 차지하는 비율은 3.6%에 불과했으나 2001년에는 8.2%로 크게 높아졌으며 특히 고소득층의 전체 소득에서 부동산소득이 차지하는 비율은 2000년 3.6%에서 2001년 무려 14.6%로 상승했다.

빈곤층 가정의 전체소득 대비 부동산소득 비율은 2000년 3.6%에서 2001년 2.1%로 오히려 떨어졌다.

한국은행은 이같은 소득양극화 심화가 중산층과 저소득층의 소비심리를 위축시켜 지역경제 회복을 지연시키고 '빈곤의 대물림' 또는 '부의 고착화'를 유발, 근로의욕을 떨어뜨려 성장잠재력을 훼손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한국은행은 저소득층에 대한 교육기회 확대 등 저소득계층이 고소득계층으로 이동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고 투자확대 유도를 통한 좋은 일자리를 많이 만들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또 부동산소득 등 비근로소득 증가로 인한 소득양극화를 줄이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 극빈층에 대한 사회안전망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수원일보 - 특례시 최고의 디지털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