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영남 수원보훈지청 보훈과
21세기 지식정보화시대의 국가경쟁력은 인적자원의 활용정도에 의해 결정된다고 한다.

특히, 의무복무자 28만명을 포함한 60만의 군대를 유지하고 중·장기 제대군인 7천여명이 매년 사회로 진입하는 우리의 현실에서는 그 어느 때보다 군의 우수인력을 인적자산으로 활용하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본다.

제대군인 지원정책을 보훈제도의 한 축으로 설정해 취업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본인도 예전에 군에서 지휘관업무를 하다 제대하고 취업에 많은 시간을 투자했던 기억이 난다.

아울러 많은 홍보와 구직알선에도 불구하고 취업의 높은 벽이라는 현실 앞에서 상담하는 제대군인에게 성공적인 사회정착과 보람 있는 제2의 인생설계에 많은 도움을 드리지 못하는 현실에 안타까울 따름이다.

현실적으로 군 구조상 30~40대에 조기 전역하는 제대군인들의 전직 실태를 보면, 장기복무제대군인은 전역당해연도 취업률이 저조하고, 1~2년 경과후의 취업률은 44.2%로 낮은 실정이다.

이러한 현상은 사회와 격리된 통제된 생활과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직무와의 연계성이 부족한 때문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사회복귀 적응과 기업문화 이해, 전문직무 지식교육 등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한편, 제대군인부를 두고 있는 미국의 경우 장기간 군에 복무한 제대군인을 기업들이 우선 채용하는 ‘애국경영’ 선풍이 일고 있고, 특히 2001년 9.11 사태 이후 더욱 전국화 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는데 이에 우리나라에서도 제대군인 인적자원의 사회적 운용을 위해서는 전역 전부터 직업 역량을 갖도록 교육기회가 확대돼야 하고, 기업이 필요로 하는 업무전문성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

특히, 군 구조 재편 및 전투력 강화를 내용으로 하는 국방개혁법이 국회를 통과함(‘06.12.1)에 따라 제대군인들의 사회복귀를 위한 체계적인 지원의 필요성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인은 기업체의 관리직 및 경비 등의 업무에 많은 직종 제공과 더불어 범정부 차원의 대책으로 교육인적자원부 안전·상담 교사, 행정자치부 재해·재난 지도자, 보건복지부 위생단속반 등 각 부처가 제대 군인에게 적합한 일자리를 마련해 줘야 하며 특히 군에서 받은 교육이나 경력이 사회에서 공인받을 수 있도록 하는 자격인증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본다.

이러한 지원계획은 기업, 사회각계, 국민들의 공감과 지지가 뒤따를 때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저작권자 © 수원일보 - 특례시 최고의 디지털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