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공공배달앱 ‘배달특급’ 누적 거래액이 지난 13일 기준 2400억원을 돌파했다고 발표했다. 지난해 9월 2000억원을 달성한 뒤 11월 2200억원, 12월 2300억원을 달성했다는 것이다. 지난 한해 누적 거래액은 1310억원이었는데. 이는 2021년 누적 거래액 1057억원 대비 253억원이나 증가한 금액이다.

배달특급은 2020년 12월 출범, 2021년 경기도 전역으로 서비스 지역을 넓혔다. 2022년에는 서울 성동구까지 진출하는 등 사업이 확대되고 있다. 배달특급은 소상공인과 소비자 상생을 위해 서비스를 시작해 가맹점주에게는 대폭 낮아진 수수료를, 소비자에게는 폭넓은 할인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도는 꾸준한 서비스 고도화와 소비자 혜택 확충을 통해 소상공인의 든든한 버팀목으로 성장했다는 자체평가를 내리면서 “끊임없는 노력과 지속적인 성장을 통해 경기도민을 위한 서비스로 우뚝 서겠다”는 의욕을 드러내고 있다. 도민들 역시 지역 소상공인에겐 비용부담을 낮추고 소비자들에게 할인효과를 제공하는 배달특급이 정착되길 기대한다.

그러나 경기도 배달특급, 코리아센터와 강원도가 협업해 만든 ‘일단시켜’, 전북 군산시 ‘배달의명수’를 제외한 각 지방정부의 공공배달앱은 저조한 실적을 보이고 있고 일부는 운영을 중단했다고 한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는 지난해 9월 외식업체 3000개를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담은 ‘3분기 외식산업 인사이트 리포트’를 발표했는데 공공배달앱은 18.1% 밖에 되지 않았다. 아이지에이웍스라는 빅데이터 플랫폼 기업의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2021년 말 기준 21개에 달했던 지자체 공공앱 중 2022년 10월 말 기준으로 정상 운영 중인 앱은 15개 정도란다. 그나마 운영되는 공공배달앱 역시 상황이 좋지 않다고 한다.

점주와 이용자 모두에게 혜택이 돌아가는데도 공공배달앱이 환영을 받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실제로 공공배달앱의 주문 한 건당 평균 수수료는 1545원으로 민간배달앱(2874원)에 비해 53.8%가 저렴했다. 전문가들은 낮은 인지도를 가장 큰 이유로 꼽는다.

공공앱은 올해부터 더 큰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올해부터 결제비중의 절반 넘게 차지하는 지역화폐에 대한 정부의 국비 지원이 절반 정도 삭감되기 때문이다. 지역화폐는 공공배달앱 결제비중의 절반을 넘는다.

공공앱이 혈세를 낭비한다는 논란까지 일고 있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경기도 배달특급 이용자들을 위해 매년 130억원 넘는 세금을 경기도가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최근 경기연구원은‘경기도 배달특급의 쟁점과 개선방안’ 보고서에서 “모델 특성상 적자가 지속될 수밖에 없는 한계를 갖는다”고 지적했다. 배달특급의 실효성과 앞으로 발전 방안을 심도있게 고민해야 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수원일보 - 특례시 최고의 디지털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