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화는 꽃 색깔에 따라 백매(白梅)·청매(靑梅)·홍매(紅梅)로 나뉜다.

채도나 꽃받침 색이 만들어낸 이미지에 따라 청매(靑梅), 녹매(綠梅), 흑매(黑梅) 등으로 더 세분화된다.

옛 사람들은 이중 홍매보다 백매가, 겹꽃보다 홑꽃이 격조 있고 백매 중에는 녹매가 최상이라고 평했다.

예부터 매화 예찬론은 차고도 넘친다. 대표적인 이가 유난히 매화 사랑이 지극했던 퇴계(退溪) 이 황이다.

그는 “매화는 샘물을 닮았다. 자극 없이 깊은 곳을 움직인다. 달밤 매화나무 언저리에 앉아 일어서길 잊었더니 향기는 옷에, 꽃 그림자는 몸에 가득하더라”고 읊기도 했다.

지금에 와서도 세인들의 매화 사랑은 다르지 않다. 섬진강 시인 김용택의 ‘봄날’이 변함없이 읽히는 것도 시 속에 숨은 매화 때문이 아닌가 싶다.

“나 찾다가/ 텃밭에/ 흙 묻은 호미만 있거든/ 예쁜 여자랑 손잡고/ 섬진강 봄물을 따라/ 매화꽃 보러 간 줄 알그라.”

매화는 이처럼 청춘남녀의 풋풋한 사랑을 닮았고, 따뜻한 바람에 흩날리며 사람들을 행복하고 너그럽게 만든다.

그뿐인가. 봄을 시샘하는 바람이 불 무렵에 꽃을 피워 청초하고 고아한 자태, 맑고 은은한 향기 등으로 보는 사람의 마음을 흔드는 것 또한 예나 지금이나 마찬가지다.

매화가 움트면 섬진강 벚굴도 기지개를 켠다. 그리고 축제가 열린다. 매화를 주제로 전국에서 가장 이른 시기에 개최되는 꽃축제다.

다압면 섬진강변 매화마을이라 불리는 섬진마을 일대가 중심이다. 올해도 어김없이 진행중이다.

축제를 거치는 동안 매화는 지리산 자락을 뒤덮는다.

그리고 고려 말 세도가 원정공 하즙이 심었다는 원정매(元正梅), 조선시대 강희안과 조식이 각각 심은 정당매(政堂梅)·남명매(南冥梅) 등 ‘산청삼매’가 연륜을 자랑한다.

거기에 질세라 이어 구례 쪽 화엄사 화엄매와 장성 백양사의 고불매(古佛梅), ‘꽃절’로 불리는 선암사의 매향도 합세한다.

이쯤되면 남도는 그야말로 매화 천지로 변해 ‘울긋불긋 꽃대궐’이 수만채씩 생긴다.

땅위에서만 잔치가 벌어지는 것은 아니다. 어른 손바닥만한 크기라 해서 ‘왕굴’이라 부르는 벚굴이 섬진강 밑에서 귀한 몸을 드러내서다.

일반 굴보다 5배 이상 큰 벚굴은 민물과 해수가 교차하는 지역에서 자라 단맛과 짠맛이 섞여 있다. 짭조름하면서 달착지근하다.

우윳빛 뽀얀 알갱이에 살이 올라 담백한 맛도 일품이다. 더욱이 이 시기만 나오는 관계로 채취 양이 적어 현지 별미로 먹는 호사를 누릴 수 있다.

어제(10일)부터 광양매화축제가 시작됐다고 한다. 18일까지라고 하니 주말 나들이도 괜찮을 듯싶다. 시작된 봄의 향연도 즐기고 벚굴도 먹고.

저작권자 © 수원일보 - 특례시 최고의 디지털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