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5월 10일 취임을 했으니 꼭 1년이 지났다. 그렇지만 대통령의 지지율은 답보상태다. 아니 좀처럼 오르지 않고 시간이 흐를수록 하방곡선을 그린다. 취임 후 지난 4월 말까지 400여 차례의 여론조사가 있었다. 전화 ARS와 면접조사 포함이다. 거의 매일 조사가 있었던 셈이다. 

물론 이슈가 있을 때마다 조사기관에 따라 편차도 있었다. 하지만 대통령 지지율은 지금까지 대략 30% 중반대에 머물고 있다. 바꾸어 짚어보면 부정평가가 두 배를 넘는 것이다. 원인이야 여러 가지 요인이 있겠지만 집권당으로선 그리 달가운 일이 아니다. 

내년 총선이 10개월 남짓 남은 상황을 고려하면 더욱 그렇다. 제3지대니 신당 창당이니 시중에서 회자되고 있는 정치권 이야기들도 부담이다. 여당인 현 국민의 힘 지도부 면면이 대통령의 직할체제라는 사실을 감안하면 불안하기까지 하다. 

덩달아 수도권 지역 정가의 내부 셈법도 복잡해지고 있다. 내년 총선은 누가 뭐래도 현 정권의 국민적 평가 성격이 짙다. 야당도 마찬가지지만 여당이 더 속이 탄다. 앞서 지적한 대통령 지지율과 상호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수도권은 총선 때마다 여야의 핵심 승부처다. 서울·경기·인천은 지역구만 122개다. 전국이 253개인 점을 고려하면 절반 가량을 차지한다. 현재 여당 의원이 지역구인 곳은 서울 9, 경기 8, 인천 2 등 19개 지역이다. 

나머지 103개는 야당과 무소속이다. 참고로 131개 비수도권 지역중 영남은 64개, 비영남은 67개다. 이렇게 따져 볼 때 비례대표 포함 전체 300석중 여야 의원수는 여당 115, 야당 178, 무소속 7이다. 

국민의 힘 입장으로 보면 친정격인 영남 석권과 수도권 선전을 이루지 못하면 내년 총선승리는 물건너 갈 수 있다. 지금의 지지율로 보면 먼나라 이웃나라 얘기가 될 수도 있다. 그만큼 절박함이 있다는 얘기다. 

그렇다고 야당이라고 안심할 수 있는 분위기도 아니다. 계속되는 여야의 충돌이 국민들을 피곤하게 하면서 ‘무당층’이 30%를 넘어서고 있어서다. 현재 양당의 고민은 지역구를 줄이고 비례대표를 늘리려는 선거제 개편안에서도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어떤 제도로 어떻게 뽑을 지, 몇 명을 뽑을 지 아직 정하지도 못한 채 골머리를 앓고 있다. 국민은 고려치 않은 상태에서 자신들의 유불리를 놓고 벌이는 논의와 충돌도 점입가경이다. 국회 의석수를 줄이자는 국민 여론이 비등한데 오히려 정원을 50명 가까이 늘리겠다고도 한다. 

현행 선거구제도 또한 자신들의 입맛에 맞게 바꾸려는 시도도 벌이고 있다. 국민이 위임한 권한을 갖고 자가당착적인 발상들을 하고 있는 것이다. 한 표라도 더 얻은 사람이 당선되는 소선거구제는 사표를 양산하고 증오의 정치를 확대 재생산한다. 

또 이렇게 구성된 정당의 양극화는 사회적 갈등으로 이어지기 마련이다. 이런 상황에선 대화와 타협을 통해 국민을 위한 제도개선에 나서는 것이 맞다. 그럼에도 자신들을 위한 ‘정치리그‘를 펼친다면 국민이 바라는 분권은 이룰 수 없다. 오히려 국민을 더욱 힘들게 만들 뿐이다. 

대통령 취임 이후 1년이라는 시간은 결코 짧지 않았다. 총선까지 남은 앞으로의 시간도 결코 길지 않다. 여야 정치권은 지난 시간을 반면교사 삼아 남은 시간을 국민과 민생을 위해 소중히 써야 한다. 국민의 눈과 귀는 항상 열려 있다. 선거 때 심판할 자료도 차곡차곡 쌓아 놓고 있다. 정치권 모두 심판의 날이 얼마 남지 않았음을 유념하면서 환골탈태 하기 바란다.

저작권자 © 수원일보 - 특례시 최고의 디지털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