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유평 연초제조창 건물 일부를 존치해 리모델링한 복합문화공간 111CM의 외관. (사진=수원시)
대유평 연초제조창 건물 일부를 존치해 리모델링한 복합문화공간 111CM의 외관. (사진=수원시)

[수원일보= 정준성 기자] 수원특례례시의 건축자산을 재활용한 사례는 매우 많다. 이번 기획에서는 네번째로 수원시의 다채로운 문화제조창으로 탈바꿈한 '대유평(大有坪)' 소재 연초제조창의 변신을 짚어봤다. 산업화를 이끌며 화려하게 한 시대를 풍미했던 건축물들이 방치되고 있는 경우는 각 지역마다 허다하다. 하지만 그것이 흉물이 되느냐, 근대 문화유산이 되느냐는 활용의 차이다. 오래된 이야기를 추억하고, 이름을 기억하며, 새로운 삶의 터전으로 활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수원시 건축자산 재활용의 네 번째 사례, 복합문화공간 111CM이 대표적이다. <편집자 주>

◇흐려진 이름, 대유평과 연초제조창

111CM 건물의 중앙에서 내부 및 공원을 연결하는 아카이브 공간.(사진=수원시)
111CM 건물의 중앙에서 내부 및 공원을 연결하는 아카이브 공간.(사진=수원시)

대형 복합쇼핑몰 등이 들어서기 위한 공사가 한창인 수원시 장안구 화서역 일대. 화려한 변신을 준비 중인 이곳은 조선시대부터 수원의 산업 중심지 역할을 하던 곳이다.

지금은 기억하는 사람이 많지 않은 ‘대유평(大有坪)’이라는 지명이 이를 방증한다. 정조대왕이 수원화성을 축조하며 백성들을 구호하기 위해 설치한 둔전의 이름이 대유평이다.

수원의 북부 지역에서 가장 넓은 평야 지대로 꼽힌 대유평은 만석거와 축만제 등 수리시설을 갖추고 농업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

200여년간 수원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필요한 식재료를 공급하며 각인된 이름이다.1960년대 산업화가 시작되며 대유평은 연초제조창이라는 이름이 더해졌다.

담배인삼공사의 담배생산공장이 들어서면서다. 36만여㎡의 넓은 대지 위에 7만5천여㎡ 규모로 건설된 연초제조창은 1971년 4월1일부터 가동을 시작했다.

시나브로, 88, 라일락, 한라산, THIS 등 대한민국에서 생산된 담배 브랜드들이 대유평 연초제조창에서 생산됐다.

담배공장의 규격화된 공간과 오래된 콘크리트 기둥 및 보를 최대한 살려 리모델링한 111CM의 구조물.(사진=수원시)
담배공장의 규격화된 공간과 오래된 콘크리트 기둥 및 보를 최대한 살려 리모델링한 111CM의 구조물.(사진=수원시)

가장 성업하던 때에는 1500여명의 노동자들이 연간 1100억 개비의 담배를 생산했다고 한다. 농업의 산실에서 근대 산업의 산실로 기능이 변화했던 셈이다.

32년간 역사를 이어오던 연초제조창은 담배 산업의 정체와 공장 자동화 및 집적화 등 시대적 흐름에 따라 점차 축소돼 2003년 3월14일을 마지막으로 담배공장 가동을 멈췄다.

생산을 중단한 부지와 공장은 그대로 방치되며 흉물스러운 골칫덩어리로 전락했다. 이후 개발 요구가 거세지며 2017년 지구단위계획 변경이 결정되기까지 15년의 시간이 흘렀다.

대유평이라는 이름도, 연초제조창이라는 역사도 사람들의 기억에서 멀어졌다.수원시는 농업과 공업을 이어 수백년간 주요 산업 중심지로 기능한 이 지역의 역사성을 살리는 방법을 찾았다.

일대의 도시개발을 진행하되 대유평 공원을 조성하고, 담배공장 건물 일부를 남겨 시민들의 커뮤니티 공간을 만들었다. 대유평 연초제조창은 그렇게 111CM이라는 새로운 이름을 갖게 됐다. 

◇산업화 시대의 기억을 간직한 111CM

전시공간, 라운지, 휴식공간 등이 마련된 111CM 내부.(사진=수원시)
전시공간, 라운지, 휴식공간 등이 마련된 111CM 내부.(사진=수원시)

수원시민을 위한 커뮤니티 공간으로 재탄생한 111CM은 정자동 111번지라는 지번과 모두가 하나 되는 공동체를 희망하는 의미의 커뮤니티(ComMunity)를 조합한 이름으로, 리모델링을 거쳐 2021년 11월1일 개관했다.

회색빛 콘크리트가 인상적인 외관은 공장 모습 그대로다. 대규모 담배공장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했던 건물 일부를 개축해 인더스트리얼 인테리어 느낌을 자연스럽게 갖게 됐다.

파이거나 긁힌 흔적이 그대로 드러나는 오래된 기둥들이 매우 규칙적으로 배치돼 있는데, 규격화된 공간은 과거 공장으로서의 기능을 극대화하기 위한 흔적이다. 입구에는 담배공장 노동자들이 사용했던 세면장을 현대적으로 구현한 공간이 방문객들의 호기심을 자아낸다.

건물 가운데는 벽이 없는 야외다. 자유롭게 쉴 수 있는 계단형 공간과 광장이 자연스럽게 공원과 연결된다. 한쪽에는 총 4대의 아카이브 영상 전시기기가 있다.

△ 연초제조창 건립사(1967~1971)△연초제조창 30년(1970~2004) △버려진 건물의 재생(2019~2121) △산업유산에서 시민을 위한 공간으로(2021~) 등 대유평의 변천사를 볼 수 있는 기기다.

어린이를 비롯한 시민들이 111CM 내부 공간에서 진행된 예술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사진=수원시)
어린이를 비롯한 시민들이 111CM 내부 공간에서 진행된 예술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사진=수원시)

중앙을 중심으로 2개 공간으로 나뉘는 내부 중 A동은 편의시설과 휴게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베이커리 카페가 운영 중이다.

또 2층으로 올라가면 야외 휴게공간이 조성돼 있는데, 오래된 지붕과 천창 등 담배공장이었던 건축물의 역사를 온전히 느낄 수 있다.커뮤니티 기능의 핵심은 B동이다.

입구를 들어서면 다양한 전시 및 체험을 운영할 수 있는 전시공간이 시작되고, 뒤편으로는 개방적이고 가변적인 구조를 가진 라운지 공간이 나타난다.

또 방문객이 개별적으로 시간을 보내거나 여유를 즐길 수 있는 휴식공간에는 긴 테이블이 마련돼 있다. 계단형 라운지 뒤편으로는 다목적실, 창작활동교육실, 스튜디오, 창의예술실험실 등 시민들이 사용할 수 있는 공간도 있다. 

◇주민 삶이 생동하는 문화제조창

111CM 인근 학교 학생들이 전시와 연계한 교육 프로그램을 참여하고 있다.(사진=수원시)
111CM 인근 학교 학생들이 전시와 연계한 교육 프로그램을 참여하고 있다.(사진=수원시)

연초제조창은 111CM으로 재탄생하며 ‘문화제조창’이라는 별칭을 얻었다. 주변 공동주택 단지는 물론 인근 주민들이 소통하며 문화를 즐기는 거점으로 기능하며, 청소년과 지역 예술인에게 열린 공간으로 활용되는 새로운 역할이 부여됐다.

우선 111CM은 북수원 권역 주민들이 문화예술을 향유하는 전시공간으로 활용된다. 개관 당시 ‘IN&OUT’을 통해 복합 멀티미디어 전시를 선보인 것을 시작으로 이듬해인 2022년 ‘특색: 타인의 영역’, ‘THE 담배공장+’, ‘어제 본 하루 중에서’ 등 기획전을 개최했다.

이어 올해는 ‘문화도시 수원 찾아가는 전시회’, ‘언덕 위의 아루스’ 등의 전시가 열렸다.라운지에서의 공연도 활발하다. 개관 첫 해 크리스마스 전날 저녁 브라스밴드 공연, 평일 오전 시간 수원시립예술단의 공연을 즐기는 브런치 콘서트, 가족 단위 방문객들을 위한 참여형 프로그램과 버스킹 등 다채로운 공연들이 틈틈이 열렸다.

특히 전시 또는 공연 등의 예술이 시민과 소통하는 공간으로 자리잡은 것은 건축자산 재활용의 가장 큰 성과로 꼽힌다. 전시나 공연을 연계한 프로그램이 다채롭게 진행돼 보다 폭넓은 문화예술 향유 경험이 가능했다.

전시기간 중 작가가 직접 진행하는 전시 투어 및 아트 체험 행사를 열어 관람객과 소통을 강화한 것이 그 예다.

지난 4월 111CM 야외 광장에서 진행된 ‘대유평 111 마르쉐’ 행사에서 예술인과 시민들이 함께 소통하고 있다.(사진=수원시)
지난 4월 111CM 야외 광장에서 진행된 ‘대유평 111 마르쉐’ 행사에서 예술인과 시민들이 함께 소통하고 있다.(사진=수원시)

수원지역의 다양한 브랜드와 프로그램, 이벤트, 체험이 한데 어우러진 ‘대유평 111 마르쉐-봄 마실가 장(場)’ 행사도 성황을 이루며 예술과 생활이 교류하는 거점을 마련했다.올해는 지역사회와의 소통이 더욱 강화되고 있다.

지난달까지 진행된 ‘언덕 위의 아루스’ 전시는 인근 초등학교 학생들이 수업과 연계한 체험 프로그램으로 예술적 경험과 역량을 확장했다.

또 청소년 동아리들에게 공간과 장비를 무상 지원하던 사업을 성인 동아리까지 확대해 ‘올-라운드 클럽’을 운영한다.

여기에 청년 예술가들의 예술계 진입을 지원하는 멘토링 사업 ‘새싹예술가’도 시작한다.111CM 휴게공간에서 독서하던 한 시민은 “어린 시절 연초제조창 앞 잔디밭으로 소풍을 왔던 기억이 생생한데, 추억을 머금은 새로운 공간이 있어서 반갑고 감사하다”며 “좋은 공간에서 더 많은 시민들이 문화예술을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활용방안이 마련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수원일보 - 특례시 최고의 디지털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