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실업이 심각하다. 경인지방통계청이 발표한 1월 도내 실업자가 30만명을 넘어섰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무려 11만1000명이 늘어난 수치다. 무려 56.1%나 치솟았다. 지난달 21만7000명과 비교하면 41% 증가했다.

날이 갈수록 실업자가 늘어나고 있다는 통계 발표는 고용한파가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고용률은 57.5%로 전년동월 대비 0.5%포인트 하락했지만 1월 취업자는 548만3000명으로 8만6000명(1.6%) 증가한 것은 다소 기대되는 대목이다.

실업자 급증은 일자리가 줄어든 탓보다도 실업통계에 빠져 있던 비경제활동인구 중 상당수가 구직활동에 나섰기 때문이라는 것이 당국의 설명이다. 어쨌든 앞으로의 고용사정 전망도 밝지 않아 상당 기간 실업률이 높은 수준을 유지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실업문제를 해결해 나가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힘만으로는 역부족이다. 중소기업을 활성화하고 그들이 일자리를 만들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해 줘야 한다. 취업 장려금이나 급여 지원이 중소기업과 일자리를 찾는 사람들에게는 물론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실업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

취업자와 실업자가 동시에 늘어나는 것은 일자리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커지는 경기회복기에 나타나는 특징 중 하나로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실업률 증가를 일시적 현상으로 그칠 수 있다는 위안도 있다.

그러나 고용시장이 기대만큼 이들을 흡수하지 못하면 실업률은 상당 기간 높은 수준에서 유지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결코 안이하게 대응하면 안 된다. 특히 대학 졸업시즌에 맞물려 전국적으로 9.3%까지 치솟은 청년실업률에 각별한 경각심을 갖고 적극적인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할 때다.

더구나 경기도의 실업률은 전국 실업률(5.0%)에 비해 0.3%포인트 높은 5.3%를 기록했다. 전국 5%대 실업률은 2001년 이후 9년만에 최고치라고 하니 도내 실업률 수치는 가히 놀랍다.

일자리 대부분은 중소기업의 역할이 크다. 문제는 중소기업 일자리를 좌우하는 것은 대기업 투자다. 그래야 납품하는 중소기업이 활기를 띨 수 있고 일자리 창출 효과가 나타난다.

경기도는 실업률이 이처럼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는 원인이 무엇인지 파악해야 한다. 아직 수도권 규제 완화가 자유롭지 못한 상황에서 투자와 공장설립 등을 가로막는 걸림돌이 어떤 것이 있는지 전면 재검토해 나가야 한다. 도내 미래 성장을 견인할 수원지역의 첨단산업단지를 비롯 환경·IT산업 등 전략산업 분야에서 새로운 수요를 창출해야 함은 물론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민간기업이 투자할 수 있도록 각종 규제를 과감히 개혁하고 일자리 창출 기업에 다양한 인세티브를 제공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실업문제는 장기적으로 교육과 산업, 노사관계, 복지 등 모든 분야에 걸쳐 해법을 찾아야 해소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공동보조가 무엇보다 절실하다.

저작권자 © 수원일보 - 특례시 최고의 디지털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