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 일이 없어 노는 실업자에게 일자리 마련은 정부, 지자체, 기업이 해야 할 가장 큰 과제다. 민선 5기를 시작한 자치단체장마다 일자리 마련을 한 목소리로 강조하고 있다. 수원시도 경상경비와 축제·행사성 예산을 절감해 오는 12월까지 900명에 이르는 지역공동체 일자리사업을 벌이기로 했다. 앞으로 4개월 동안 총 42억원을 투입해 취약계층과 청년 미취업자 지원을 위한 일자리사업을 전개하겠다는 것이다. 시는 이달 지역녹색일자리사업과 희망일자리사업에 각각 5개 세부사업을 만들어 총 891명의 인원을 고용했다. 당초 목표인 447명보다 2배 가까운 수준이다.

지자체 자체 예산을 줄여 일자리 창출에 올인하는 것은 지역 실업률을 낮추고 소득 증대에 다소나마 보탬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평가할 만하다. 그러나 근본적인 실업률 해소를 위해서는 한시적인 일자리 마련보다 안정된 장기적 고용대책이 중요하다. 여기에는 산업단지에 기업을 유치해 경제를 활성화하고 대규모 국책사업과 민자를 통해 성장동력을 확보해 일자리를 늘려야 할 것이다.

또 일자리 창출을 위한 지자체 간 협의체를 구성, 구직 구인 정보를 교류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일자리 성과를 거두는 것도 바람직한 발상일 것이다. 이를테면 수원시는 생활, 경제, 문화권이 같은 화성·오산시와 고용심의회를 구성, 고용인력 정책을 연계한다면 시너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데 공감대 형성으로 이어질 것이다. 문제는 그동안 수원시가 여러 가지 일자리 시책을 추진했지만 성과가 미흡했다는 점이다. 몇몇 기업의 이전에 따른 경제 효과를 강조하며 홍보에 열을 올렸지만 정작 일자리 창출 효과는 미미했다.

무엇보다 이번 수원시의 공동체 일자리 창출을 기폭제로 해 기업을 끌어들여 실업자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데 힘써야 한다. 아울러 해당 기업에 대한 인센티브를 부여함으로써 명실 공히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는 지름길이 돼야 할 것이다.

서민들이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 단순히 숫자만 채우고, 실적에만 연연해서는 안 된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외형적 목표에 집착하면서 선심성 일자리에 치중한 감이 없지 않다. 저소득층의 자립을 도와줄 만한 내실있는 일자리가 중요하다. 유망 업체를 유치해 그 업체를 지역 속으로 침투시켜야 한다.

실제 수원시는 과거에도 기업 유치와 일자리 창출을 내걸었지만 성과는 시민의 만족도에 미치지 못했다. 말로 하는 기업 유치와 일자리 창출이 아니라 실질적인 성과를 보여 달라는 요구가 나오는 이유다. 이 점에서 수원시는 그동안 무엇이 잘못됐고 미흡했는지 되짚어 보고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면밀한 계획을 세워야 한다.

그래서 이번 수원시의 공동체 일자리 창출은 여러 가지 의미를 갖는다. 경상경비와 축제·행사성 예산을 절감해 일자리사업에 투자한 것은 그동안 축제 행사가 단체장의 선심성으로 비치면서 논란이 돼 왔던 게 사실이다. 이를 과감히 취소하거나 축소해 그 예산으로 일자리를 마련하고 있는 것은 시민들의 반향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다. 공동체 일자리 마련을 계기로 지역의 신성장동력을 찾아내 양질의 일자리를 만드는 근원적 대책을 마련해 주기 바란다.

저작권자 © 수원일보 - 특례시 최고의 디지털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