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적인 고령화 추세에서 비교적 젊은도시로 통했던 수원시가 올 하반기에 고령화 사회에 진입할 것이라고 한다. 우리나라 인구 고령화가 세계 어느 나라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 문제의 폭발성에 대한 사회 인식과 정부 대책은 여전히 미흡하다.

고령화 사회는 다양한 문제를 안고 있다. 우선 경제적으로 생산성의 하락과 맞물려 있다. 생산활동가능인구는 줄어드는 대신 부양해야 할 인구는 늘어나면 경제성장률은 둔화되게 마련이다. 노후를 준비하지 않은 많은 사람들에게 빈곤층으로 전락할 소지를 안고 있으며 주변의 관심에서 멀어지면 뒷방신세를 질 수밖에 없다.

지금부터라도 우리 사회는 곧 다가올 고령화 사회를 대비해야 한다. 수원시는 12월 말 현재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7만4685명으로 수원시 인구(107만7507명)의 6.9%에 이른다. 7%가 넘으면 고령화 사회로 분류돼 그동안 진행 추세를 감안하면 하반기 진입은 시간 문제다.

그동안 수원시 총 주택(22만6729가구) 중 청장년층이 선호하는 아파트가 84.3%(19만1152가구)를 차지하면서 젊은 도시를 유지했지만 올 하반기에는 65세가 되는 인구가 800명 이상으로 집계돼 고령화 도시로 진입할 상황이다.

이처럼 급속한 인구 고령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면 우리 경제의 역동성을 크게 떨어질 게 뻔하다. 무엇보다 의료비를 비롯해 고령 인구를 부양하기 위한 사회적 비용은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데 비해 그 부담을 나누어 져야 할 젊은층은 갈수록 줄어들고 있는 게 사실이다.

이대로 두면 국민연금 기금은 빠르게 고갈되고 정부는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사회보장 비용을 마련하고 재정 파탄을 막기 위해 세율을 큰 폭으로 올릴 수밖에 없다. 준비 없이 노년을 맞는 지금 세대를 위해 다음 세대가 소득의 절반 이상을 세금과 사회보장비로 내야 한다면 그만큼 경제 활력은 떨어지고 세대간 갈등을 깊어질 것이다.

지금부터라도 수원시는 곧 다가올 고령화 사회를 대비해야 한다. 물론 고령화 대비가 지방정부의 대책만으로 해결하기에는 역부족이다. 경제성장 측면에서 저출산·고령화 대책은 무엇보다 강력한 추진체계가 절실하다.

정부는 지난해 향후 5년간 70여억조원을 투입 '제2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을 확정한 바 있다. 이전 1차 계획에 비해 79%를 늘렸다. 하지만 선진국 수준으로 볼 때 기대에 못 미친다는 지적이다.

지금 수원은 젊은 연령대 인구가 다수를 차지하는 인구 이동이 전입보다 전출이 많아지고 있는 추세임을 감안하면 고령화 대비에 총력을 집중해야 할 이유다. 노인 일자리 마련은 물론이고 시대에 부합하는 동참의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새로운 정보 전달 기능과 자원봉사로 쓸쓸한 노년을 막아야 한다.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는 말이 있다. 단지 늙었다는 이유로 소외되지 않고  경륜과 넉넉함으로 당당한 우리 사회의 일원이 될 수 있도록 정부와 지자체, 기업체, 학계 등에서 관심을 가져야 한다. 고령화 문제는 우리 사회 모두가 책임을 분담한다는 인식을 확고히 해야만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고령화 문제는 인내와 끈기를 갖고 장기적 과제로 풀어나가야 한다. 여기에는 지자체가 중심이 돼야 한다.

저작권자 © 수원일보 - 특례시 최고의 디지털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