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용인·화성·오산 등 경기남부지역 광역 경제생활권 구축을 위한 협의체 가동엔진이 힘을 잃고 있다. 

수원시가 제안한 '경기남부 경제공동협의회' 구성이 잇따라 타 지자체의 반대로 발목이 잡힌 상태다.

수원시는 민선5기 출범이 뒤 삼성전자 등 대기업 이탈 방지와 신성장산업 유치 등 지역경제 문제에 공동으로 대응할 광역 경제권 구축을 위해 화성과 오산, 용인시에 경기남부 경제공동협의회 구성을 제안했다.
시는 정부와 대기업들이 탈 수도권 정책이 가시화됨에 따라 경기남부권 내 대기업 이탈을 막고 신수종 산업 유치를 공동으로 펼쳐 기업과 지역이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찾자는 취지에서 주변 지자체에 협의회 구성을 제안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용인시와 오산시는 별도의 협의회를 구성 대신 기존 수원시와 용인, 평택, 화성, 안성, 의왕, 오산 등 7개 기초자치단체장으로 구성된 경기남부권 시장협의회에서 경제 관련 안건을 논의하자는 입장이다.

용인과 오산시는 경제 문제는 경기남부권 모든 지자체의 공통된 현안으로, 굳이 수원과 용인, 화성, 오산만 별도로 묶어 협의회를 만들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

또 화성시는 현재 선거법 위반 혐의로 공판이 진행 중인 채인석 시장의 대법원 판결 뒤에 논의하자며 보류했다. 따라서 사실상 경기남부 경제생활권 통합 방안이 무산된 셈이다.

이들 지자체는 지역 경제에 대기업이 차지하는 비중과 시세 의존도가 높은 곳이다. 직원이 300명 이상인 기업체 현황을 보면 화성시(오산시 포함)가 26개 업체(고용인원 3만4815명)로 가장 많았고, 용인시와 수원시가 각각 13개 업체(1만7543명)와 5개 업체(3만5627명)로 나타났다.

이중 삼성전자 등 삼성계열사가 8개 사업장 6만7017명으로 전체 고용 인력의 76.1%를 차지했고 기아자동차 2개 사업장 9441명(10.7%) 등 대기업 고용 비중이 87%에 달했다.

또 시세 수입도 이와 다르지 않았다. 수원시만 보더라도 삼성전자와 삼성전기, 삼성LED 등 삼성계열사가 지난해 낸 지방세가 904억원으로 전체 시세의 17.6%를 차지할 정도다.

수원시는 이미 대기업이 지역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에 주목해 지난해 12월 삼성전자와 삼성전기, 삼성LED와 함께 기업상생협력단을 구성했다.

행정기관이 기업하기 좋은 여건을 만들어 주고, 이를 통해 기업의 투자가 확대돼 고용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로 어지도록 하기 위해 수원시가 협력단 구성을 제안했다.

수원시는 이 기구의 기능을 경기남부권으로 확대하기 위해 경기남부 공동협의회 구성을 제안했으나 주변 지자체마다 입장이 달라 사실상 협의회 구성이 어렵게 됐다.

수원시 관계자는 "지자체마다 입장이 달라 경제공동협의회 구성이 어려운 상황"이라며 "우선 신성장동력산업 투자 유치 등의 대회적인 협력이 필요한 사업은 경기남부권 시장협의회를 통해 협의하고, 경기남부 경제공동협의회 구성의 필요성을 충분히 알린 뒤 재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수원일보 - 특례시 최고의 디지털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