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기준 수도권매립지 반입폐기물의 80.4%는 사업장폐기물, 19.6%는 생활폐기물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매립되는 폐기물 중 가연성폐기물은 2013년 기준 생활폐기물에서 93.2%, 건설폐기물에서 46.8%를 차지하는등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이 다수 포함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정임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수도권매립지 이슈와 시사점'에서 밝혀진 것으로, 이위원은 올해 수도권매립지 사용연장 합의를 계기로 직매립 금지 등 향후 폐기물 처리체계의 근본적인 개선을 제안했다.

지난 1992년 폐기물반입을 시작한 수도권매립지 규모는 1천541만㎡로 세계 최대 규모이며, 전국 매립장 면적의 53%에 달한다.

폐기물 반입량은 지난해 기준 336만t으로 서울시 48%(161만t), 경기도 34%(114만t), 인천시 18%(61만t) 순이다.

1인당 폐기물 반입량은 인천시(인구 290만 명) 210kg, 서울시(인구 1,010만 명) 160kg, 경기도(인구 1,235만 명) 92kg 순이다.

수도권매립지 반입폐기물의 80.4%를 차지하는 사업장폐기물은 배출시설계폐기물이 43.1%, 건설폐기물이 35.3%, 사업장생활계폐기물이 2.0%를 차지하고 있다.
 
이같이 사업장폐기물 비율이 높은 것은 2만~6만 원 정도에 불과한 낮은 반입 수수료에서도 기인한다. 이는 소각비용 10~20만 원, 재활용 처리비용 5~10만 원에 비해 저렴한 수준이다.
 
한편, 93.2%를 차지하는 생활폐기물 내 가연성폐기물 구성은 종이류 44.6%, 플라스틱류 23.2%로, 재활용이나 자원화가 가능한 폐기물이 상당량 매립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정임 선임연구위원은 "수도권매립지 매립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매립량의 80%를 차지하는 건설·사업장폐기물의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생산 단계에서 폐기물을 감량하고 유해물질 사용을 줄이면서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통한 폐기물 제로화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도록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수원일보 - 특례시 최고의 디지털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