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4년 서울시 송파구 석촌동에 사는 세 모녀가 큰 딸의 만성 질환, 어머니의 실직 등 만성적인 생활고를 견디지 못하고 스스로 세상을 떠났다. 이른바 ‘송파 세 모녀 자살 사건’이다. 이들은 “정말 죄송합니다"라는 메모와 함께 갖고 있던 전 재산인 현금 70만원을 집세와 공과금으로 남겼다.

지난해 8월엔 ‘수원 세 모녀 사건’도 일어났다. 수원 세 모녀 사망 원인은 송파 세 모녀 사건과 비슷했다. 극심한 생계난을 견디지 못해 벌어진 비극이었다. 이후 복지 사각지대에 대한 문제점이 드러났고 국민과 정치권의 관심이 높아졌다.

이에 경기도와 수원시 등 각 지방정부들은 복지 사각지대를 발굴하기위한 각종 정책들을 내놓고 있다. 수원시의 경우 공동주택 관리비·공공임대주택 임차료를 체납한 가구를 전수 조사해 '주거위기가구’ 발굴하고 있다. 현재 공동주택 관리비나 공공임대주택 임차료를 4개월 이상 체납한 1926가구를 조사하고 있다. 전화로 가구원을 상담한 후 생활 실태를 파악해 위기 상황을 확인하고 도움이 필요한 가구에 적절한 복지서비스를 연계한다는 것이다. 연락되지 않는 가구는 가족·이웃을 통해, 또는 경찰·소방서 등에 협조를 요청해 대상자의 상태를 확인하고 있다.

위기 징후가 있다고 판단되면 동 맞춤형복지팀에서 방문, 실태를 상세하게 파악하고 있다. 주거복지 상담서비스도 운영하고 있다. 주거취약계층 주거상향, 청년주거 고민, 주거환경 개선 등 주거에 관한 모든 서비스를 한 창구에서 상담해 준다.

경기도는 사회복지시설이나 기관에서 업무수행 과정 중 복지 사각지대 위기가구를 발굴해 경기도 긴급복지 위기 상담 핫라인으로 전달하는 체계를 마련했다. 지난 7일엔 △경기도사회복지협의회 △경기도사회복지사협회 △경기도사회복지관협회 △경기자활기업협회 △경기도·인천노숙인시설연합회 △경기도노인종합복지관협회 △경기도재가노인복지협회 △경기도장애인복지시설협회 등과 복지 사각지대 위기가구 발굴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위기 가구에 대한 신속한 긴급복지지원을 위한 것이다.

업무 협약식에서 오병권 도 행정1부지사는 이렇게 말했다. “경기도에서 관계기관·단체와 협력을 통한 복지 사각지대 발굴 지원체계를 가동하고 있지만 공조직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이웃의 관심과 협조가 절실하다”고. 그의 말처럼 관청에만 맡길 일은 아니다. 내 주변에 위기 이웃이 있는지 끊임없는 관심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나의 관심이 이웃의 참담한 비극을 막을 수 있다.

저작권자 © 수원일보 - 특례시 최고의 디지털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