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급(俸給)의 어원은 녹봉(祿俸)에서 찾을 수 있다. 녹봉은 삼국시대부터 조선까지 관리가 나랏일을 하고 받던 보수다.

봉급은 현재 공무원에게 주는 급여만을 일컫는다. 연관성을 생각하면 이해가 간다.

직장을 비롯, 일반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급여는 임금(賃金)으로 통칭되는 것을 보아도 그렇다. 좀더 쉽게 이해 하자면 이렇다.

임금은 근로기준법으로 보호한다. 공무원 봉급은 국가공무원법에 의한 공무원 보수규정에 따른다. 어딘지 같은 듯 다르다.

공무원중 봉급 랭킹 탑은 대통령이다. 2022년 기준 연봉 2억4455만7000원으로 공무원중 유일하게 2억원이 넘는다.

총리는 1억8959만9000원, 장관이나 장관급은 1억3941만7000원을 받는다. 대통령은 퇴임 후에도 적지 않은 연금을 수령하며 이하 직급도 금액 차이가 있을 뿐 크게 다르지 않다.

일반직 9급 공무원 1호봉은 본봉이 168만6500원, 각종 수당을 합해야 215만원쯤이다. 공무원 속성상 직급을 제쳐놓고 봉급을 논하는 것 자체가 무리지만 비교불가다.

다만 호봉이 올라갈수록 봉투가 두툼해지긴 한다. 그러나 봉급이 3~400만원 언저리라는 5급까지 평균 24년이 소요된다는 것을 감안하면 역시다.

그런데도 ‘신의 직장’으로 불리며 공시열풍이 부는 것은 각종 수당이 붙으면서 공무원연금과 정년보장까지 보장되는 매력 때문이라 할 수 있다.

2019년 2월 미국 LA타임지에 다음과 같은 기사가 실려 화제가 된 적이 있다.

“한국에서 공무원이 되는 것은 하버드대에 합격하는 것보다 어렵다.”

다른 설명이 필요 없을 정도로 우리의 공시열풍을 대변한다.

하지만 불과 3년만에 열풍은 주춤하고 경쟁률도 떨어지고 있다.

이유는 복잡하지만 대략 낮아진 공무원의 위상 때문이다.

그 중심엔 낮은 급여가 있다. 거기에 공직내 2040 MZ세대의 분포가 늘면서 ‘워라밸’을 찾는 풍조도 한 몫하고 있다.

덕분에 현직을 떠나는 공무원들도 늘고 있다.

공무원 위상이 낮아진 건 통계로 확인할 수 있다.

통계청 ‘사회조사결과’에 따르면 2009년엔 13~34세가 가장 근무하고 싶은 직장 1위로 국가기관(28.6%)이 꼽혔다.

2위는 민·공 신분 공기업(17.6%)이었다. 공무원·준공무원이 선호 직장의 절반 가까이 차지해 대기업(17.1%)과 격차가 컸다.

하지만 2021년 같은 조사에선 대기업(21.6%)이 1위, 2위가 공기업(21.5%)이었고, 국가기관(21%)이 3위로 바뀌었다.

위상이 낮아지니 공시 경쟁률도 급감이다. 작년 9급 공무원 시험 경쟁률은 22.8대 1을 기록했다. 1992년(19.3 대 1) 이후 가장 낮았다.

경쟁률이 93.3대 1로 정점을 찍은 2011년의 4분의 1 수준이다. 어디 그 뿐인가. 자진퇴사도 늘었다.

2018년 1만694명에서 2021년 1만4312명으로 33.8% 증가했다.

‘그래도 공무원은 괜찮은 직업’이라는 약효가 먹히고 있지만 공시합격 공무원들을 고민에 빠뜨리는 불편한 진실이다.

그러다 보니 공복(公僕)이라는 사명감도 점점 찾기 어려워지고 있다.

공무원들은 국가나 사회의 심부름꾼으로 하루하루 살아야 하는 긴박감이 누구보다 높다. 책임과 의무를 생각하면 과도한 스트레스와 피로도 늘 달고 산다.

그럼에도 적은 ‘녹봉’만 먹고 살 수 없다는 그들의 고민, 공감이 간다.

공무원 숫자 늘리기보다 처우와 긍지를 높이는 정부의 헤아림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수원일보 - 특례시 최고의 디지털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